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치료할 수 있는 증상과 어려운 증상(可治難治證)
凡治病, 察其形氣色澤, 脉之盛衰, 病之新故, 乃治之, 無後其時. 形氣相得, 謂之可治. 대개 병을 치료할 때는 그 형체, 기운, 색과 광택, 맥의 성쇠를 살펴야 한다. 병이 새로 생긴 병인지 원래 오래 앓았던 병인지 구분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치료해야할 때에 뒤쳐져서는 안 된다. 형체와 기운이 서로 상응하면 이것을 일러 치료할 수 있다고 한다. -> 진찰할 때 기본적으로 관찰해야 하는 것들이다. 전체적인 형체에는 문제가 없는지, 숨은 잘 쉬는지, 얼굴색과 광택에는 이상이 없는지, 맥은 정상인지 확인해야 한다. 이들이 모두 조화로우면 치료하기 쉽다. 色澤以浮, 謂之易已. 脉從四時, 謂之可治. 脉弱以滑, 是有胃氣, 命曰易治, 取之以時. 색과 광택이 잘 떠올라 있으면 쉽게 치료할 따름이라고 이른다. 맥이 사계절..
더보기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새로 생긴 병인지 오래 앓은 병인지 점치는 법(占新久病)
脉小弱以澁者, 謂之久病, 脉滑浮而疾者, 謂之新病. 맥이 소(小)하고 약(弱)하면서 삽(澁)한 것은 오래된 병이다. 맥이 매끄럽고(滑) 떠 있으면서(浮) 빠르면(疾) 이르기를 새로 생긴 병이다. -> 맥법으로 병을 분류하고 있다. 맥을 볼 때는 손으로 눌러서 맥이 어디부터 느껴지는지를 봐야 한다.(깊이) 그리고 맥의 가로 폭이 어느정도 되는지 봐야 한다.(폭) 마지막으로 맥의 빠르기를 본다.(속도) 이 3가지를 기본으로 보는 것이 맥법의 시작이다. 맥법을 보는 법 깊이, 폭, 속도 3가지를 확인했다면 맥을 느낄 때 맥이 벽을 긁으며 가는 듯한, 즉 저항이 느껴지는지, 저항이 없이 그냥 매끄럽게 잘 가는지 확인해야 한다. 맥의 위치 특성 깊이 부, 침 폭 대, 소 속도 지, 삭 저항 활, 삽 이정도만 봐도 ..
더보기
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 - 입 부분(口部) (1)
口屬脾, 鼻屬肺, 上齒上齶斷及脣屬胃, 下齒下斷及脣, 屬大腸. ○督脉任脈主中行, 各隨其經治之, 萬無一失. 입은 비장에 속하고 코는 폐에 속한다. 위 이빨, 윗 턱부터 입술은 위에 속하고 아래 이빨, 아래턱부터 입술은 대장에 속한다. 독맥, 임맥은 몸 한 가운데를 주행하여 각각 그 경맥을 따라 나타난 증상을 치료하면 모두 잃는 것이 없게 치료한다. -> 경맥의 유주 부위에 따른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입, 코는 각각 비장, 폐에 속하는 것은 기본 중에 기본이다. 상악 부분은 족양명위경, 하악 부분은 수양명대장경에 속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상악이든 하악이든 양명경에 속한다는 것이다.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몸통 앞 가운데는 임맥, 몸통 뒤 가운데는 독맥이 주행한다. 이전에 풍지혈에 대해 공부한 적이 있다...
더보기
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 - 눈 부분(目部) (2)
又方肝兪七壯, 第九椎節上七壯, 合谷 外關 睛明 崑崙, 並久留鍼, ○大空骨九壯吹火滅, 手大指內側橫文頭各三壯, 手小指本節尖各三壯 ○耳尖七壯, 不宜多灸. 또 다른 처방은 (눈에 흰 것이 낀 경우, 백내장) 간수에 7장 뜸을 뜨고 제 9추 관절 위에 7장 뜸을 뜬다. 합곡, 외관, 정명, 곤륜에 또한 오래도록 침을 놓는다. 대공골에 9장 뜸을 뜨고 뜸에 입으로 바람을 불러 뜸에 붙은 불은 끈다. 엄지손가락 내측 가로 주름이 시작하는 곳에 뜸을 오른쪽, 왼쪽 각각 3장 뜬다. 새끼손가락(소공골)에 뜸을 3장 뜬다. 이첨(귀 가장 끝)에 7장 뜸을 뜬다. 이 때는 마땅히 뜸을 많이 뜨면 안 된다. -> 눈은 혈로부터 자양을 받아 기능한다. 따라서 혈을 저장하는 대표적인 장부인 간이 제대로 기능해야 한다. 즉, 눈과..
더보기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병을 관찰하는 오묘한 기틀(察病玄機) (2)
言遲者, 風也. 搖頭言者, 其裏痛也. 行遲者, 表强也. 坐而伏者, 短氣也. 坐而下一膝者, 必腰痛也. 裏實護腹如懷卵者, 必心痛也. 息搖肩者, 心中堅也. 息引胸中上氣者, 咳也. 息張口短氣者, 肺痿吐沫也. 말을 느리게 하는 것은 풍이다. 머리를 흔들면서 말하는 것은 리(속)의 통증이다. 행동이 느려진 것은 표(피부)가 강성해진 것이다. 앉아 있고 누워있기만 한 것은 숨을 짧게 쉬는 것이다. 앉아 있고 한 쪽 무릎을 아래로 내리고 있는 것은 반드시 허리가 아픈 것인다. 리(속)이 실하고 배를 보호하는 것이 계란을 품듯 하는 것은 반드시 심통이다. 숨쉴 때 어깨를 들썩거리는 것은 명치가 단단해진 것이다. 숨 쉴 때 가슴을 끌어당기고 기가 위로 치밀어오르는 것은 기침하는 것이다. 숨쉴 때 입을 벌리고 숨이 짧은 것..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