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경소증

대추(大棗), 효능 분석, 본경소증(本經疏證)을 중심으로. (2) 대추(大棗), 효능 분석, 본경소증(本經疏證)을 중심으로. (1) 대추(大棗), 효능 분석, 본경소증(本經疏證)을 중심으로. (2) 본경소증은 대추의 실제 활용례를 중심으로 기록했다. 저자가 상한론과 금궤요략에 있는 대추 관련된 처방을 일일이 다 세어 계산했다. 굳이 그 숫자까지 다 세어야 하나? 싶을 정도로 정말 상세하게 숫자를 잘 세었다.. 생강, 대추를 자주 쓰다보니 이 2약재의 효능에 대해서는 처방 분석할 때 간과하는 경우가 많은데 절대 그러면 안 된다. 생강만 썼는지 대추만 썼는지 둘 다 썼는지에 따라 효능이 달라진다. 1. 원문. 曰, 病有賁豚, 有吐膿, 有驚怖, 有火邪, 此四部病皆從驚發得之, 大棗 據 大棗主大驚, 宜無不可用矣, 而不必悉用, 何哉? 夫 固言之矣, 曰身中不足大驚. 不可截去‘身中不.. 더보기
대추(大棗), 효능 분석, 본경소증(本經疏證)을 중심으로. (1) 대추(大棗), 효능 분석, 본경소증(本經疏證)을 중심으로. (1) 대추(大棗), 효능 분석, 본경소증(本經疏證)을 중심으로. (2) 1. 원문. , 兩書, 用棗者五十八, 其不與薑同用者, 十一方而已, 大率薑與棗聯, 爲和營衛之主劑, 薑以主衛, 棗以主營, 故四十七方中其受桂枝湯節制者二十四, 受小柴胡湯節制者六, 不受桂柴節制者十七, 此蓋有二焉, 皆有涉營衛, 一者營衛之氣爲邪阻於外, 欲開而出之, 又恐其散之猛也. 則麻黃劑中加用之以防其太過, 一者營衛之氣爲邪阻於內, 欲補而達之, 又恐其補之壅也, 則人參劑中加用之, 以助其不及, 防之於外者, 欲其力均稱, 故分數仍桂枝, 柴胡之法, 助之於內者, 欲其和裏之力優, 而後外達能銳, 故棗重於薑, 此實用薑棗之權與, 棗之功能, 尤於是足見者也. 2. 원문 - 해석 - 해설. , 兩書, 用棗者五十八.. 더보기
맥문동(麥門冬), 효능, 성미, 본경소증(本經疏證)을 중심으로. 본초신편에서 맥문동은 폐뿐만 아니라 심, 위장으로도 귀경이 있음을 설명했다. 특히 맥문동이 폐를 보하는 것을 강조했다. 또한 폐열증이면 왜 오줌이 잘 안 나오는지 상초와 폐의 연관성을 통해 멋지게 설명해냈다. 사실, 맥문동도 중국산과 한국산의 차이가 있다. 중금속 검사, 농약 검사를 끝마쳐 안전한 한약재라는 가정하에 중국산, 한국산 맥문동은 분명히 효능 차이가 있다. 중국산 맥문동은 표면이 한국산 맥문동보다 좀 더 매끄럽고 맛 또한 달고 부드럽다. 그래서인지 중국산 맥문동은 보하는 효능이 좀 더 강한 것 같고 한국산 맥문동은 매운맛이 좀 강해서 발산하고 열을 식히는 효능이 조금 있다. 중국산, 한국산 맥문동은 서로 우열을 가리기보다는 효능의 차이가 있으므로 증상을 보고 맞춰서 쓰는 것이 맞다고 생각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