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초휘언

대추(大棗), 효능, 본초휘언(本草彙言)을 중심으로. 1. 원문. 沈氏曰, 此藥甘潤膏凝, 善補陰陽, 氣血, 津液, 脈絡, 筋兪, 骨髓,一切虛損, 無不宜之. 如龍潭方治驚悸怔忡, 健忘恍惚, 志意昏迷, 精神不守, 或中氣不和, 飮食無味, 百體懶重, 肌肉羸瘦, 此屬心, 脾二藏元神虧損之症, 必用大棗治之. 佐用陳皮, 調暢中脘虛滯之痰. 2. 원문 - 해석 - 해설. 沈氏曰, 此藥甘潤膏凝, 善補陰陽, 氣血, 津液, 脈絡, 筋兪, 骨髓, 一切虛損, 無不宜之. 沈氏가 말하길 대추는 단 맛이고 자윤하는 성질이 있는 기름 덩어리 같은 것이다. 음양, 기혈, 진액, 경맥, 락맥, 근수, 골수 등 일절 모든 허손을 잘 보할 때 마땅히 대추를 써야 한다. -> 대추의 맛은 단 맛에 속한다. 비위를 보하는 쪽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음양~골수까지 몸에 있는 여러 구성 물질을 보충하는데 대.. 더보기
택사(澤瀉), 효능 분석, 본초휘언(本草彙言)을 중심으로. 1. 원문. 方龍潭云, 澤瀉有固腎治水之功, 然與猪苓又有不向者, 蓋猪苓利水, 能分泄表間之邪, 澤瀉利水, 能宣 通內臟之濕. 澤瀉, 利水之主藥. 利水, 人皆知之矣. 丹溪又謂能利膀胱, 包絡之火, 膀胱包絡有火, 病癃閉結脹者, 火瀉則水行, 行水則火降矣, 水火二義, 並行不悖. 2. 원문 - 해석 - 해설. 方龍潭云, 澤瀉有固腎治水之功, 然與猪苓又有不向者, 蓋猪苓利水, 能分泄表間之邪, 澤瀉利水, 能宣通內臟之濕. 方龍潭가 이르기를 택사는 신장을 튼튼히 하여 물에 대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저령과 더불어 또한 같은 방향이 있지 않은 것은 대개 저령은 물을 통하게 하지만 표(피부) 사이의 나쁜 기운을 분별하여 내보낸다. 택사는 물을 통하게 하지만 내장의 습을 잘 통하게 한다. -> 저령, 복령, 택사는.. 더보기
황기(黃耆), 효능 분석, 본초휘언(本草彙言)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주진형, 약품화의, 탕액본초로 황기를 공부했다. 벌써 4번째로 본초휘언에서 언급된 황기를 보고 있다. 책 4개를 비교해보니 황기의 효능이 책마다 크게 다르지 않고 적용한 적응증도 많이 다르지 않다. 이 책들이 출간된 시간 간격이 수백년이 족히 넘는데 이 말은 수백년동안 각기 다른 환자에게 황기를 적용해 치료한 치험례를 동일하게 관찰했다는 뜻이다. 즉, 수백년을 관찰한 거대한 케이스 시리즈 리포트, 거대한 코호트 연구다. 그래서 문헌에 맞게 병증에 맞게 정확히 진단하고 한약을 쓰면 정확히 치료된다. 1. 원문. 黃耆, 補肺健脾, 實衛斂汗, 驅風運毒之藥也. 故陽虛之人, 自汗頻來, 乃表虛而腠理不密也. 黃耆可以實衛而斂汗. 傷寒之證, 行發表而邪汗不出, 乃裏虛而正氣內乏也, 黃耆可以濟津以助汗. 賊風之疴, 偏.. 더보기
천궁(川芎), 효능, 성미, 귀경, 본초휘언(本草彙言)을 중심으로. 일전에 천궁의 귀경이 간담으로 작용하며 부수적으로 심장, 비장으로 가는 것을 공부했다. 귀경을 통해 천궁의 효능을 집중조명함으로써 천궁이 가지는 행기行氣라는 것이 무엇인지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계기였다. 이번에는 본초휘언에서 언급된 천궁의 효능에 대해 공부하려고 한다. 본초휘언에서는 단계심법과는 조금 다르게 천궁의 기전에 대해 설명하기보다는 아마 독자들이 천궁의 기본적인 것은 다 알고 있다는 전제하에 천궁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천궁과 조합하면 좋은 약재, 천궁이 치료할 수 있는 병증 등을 쭉 나열하고 끝나버리는데 초심자는 과연 이것을 보고 이해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아마 어려울 것이다.) 나름 해설을 달아봤는데 나중에 공부할 때 도움되었으면 좋겠다. 1. 본초휘언 원문 芎藭, 上行頭目,..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