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자(五味子), 효능, 본초연의보유(本草衍義補遺)을 중심으로.
1. 원문. 五味子, 今謂五味, 實所未曉, 以其大能收肺氣, 宜其有補腎之功, 收肺氣非除熱乎? 補腎非暖水臟乎? 食之多致虛熱, 蓋收腎之驟也, 何惑之有? 火熱嗽必用之.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 今謂五味, 實所未曉, 以其大能收肺氣, 宜其有補腎之功, 收肺氣非除熱乎? 補腎非暖水臟乎? 食之多致虛熱, 蓋收腎之驟也, 何惑之有? 火熱嗽必用之. 오미자는 오늘날 오미(五味)라고 부른다. 진실로 이해하기 어렵다. 오미자는 폐의 기운을 크게 수렴할 수 있으므로 마땅히 신장의 기능을 보할 수 있다. 폐 기운을 수렴함으로써 열을 제거할 수 없을 것인가? 신장을 보함으로써 물에 해당하는 장기를 따뜻하게 할 수 없을 것인가? 오미자를 많이 먹으면 허열에 이르게 된다. 대개 신장을 수렴하는 것을 빠르게 했기 때문이다. 이 이..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용약심법(用藥心法)을 중심으로.
1. 원문. 五味子收肺氣, 補氣不足, 升也. 酸以收逆氣, 肺寒氣逆, 則以此藥與乾薑同用治之.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收肺氣, 補氣不足, 升也. 酸以收逆氣, 肺寒氣逆, 則以此藥與乾薑同用治之. 오미자는 폐 기운을 수렴한다. 기가 부족한 것을 보하며 상승하는 작용을 말한다. 오미자의 신 맛으로써 거슬러오르는 기운을 수렴하며 폐가 차가워서 생기는 기가 거스르는 증상에는 오미자와 건강을 함께 써서 치료한다. -> 오미자는 신 맛에 배속되어 있으며 폐, 신장의 음을 보하는 효능이 있다. 폐 기운은 신장으로부터 이어지는 일련의 기전에 따라 생성된 진액의 도움으로 아래로 내려간다. 즉, 폐의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는게 정상이다. 무언가 잘못되면 기가 위로 거슬러 오른다. 이것을 기침하는 것, 숨을 헐떡이는 것..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주해상한론(注解傷寒論)을 중심으로.
1. 원문. 曰, 肺欲收, 急食酸以收之. 芍藥, 五味子之酸, 以收逆氣而安肺. 2. 원문 - 해석 - 해설. 曰, 肺欲收, 急食酸以收之. 芍藥, 五味子之酸, 以收逆氣而安肺. 내경에서 말하길 폐는 수렴하려고 하기에 급히 신 맛을 띠는 본초로써 폐를 수렴해야 한다. 작약, 오미자의 신 맛으로 원래대로 흐르지 않고 거슬러 흐르는 기를 수렴하고 폐를 안정시킨다. -> 내경의 말을 인용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덧붙이고 있는 구절이다. 폐는 수렴하니까 어떤 이유로 폐가 수렴하지 않으면 수렴시킬 수 있는 약재로 폐를 수렴해야 한다는게 내경의 견해다. 그런데 여기에다가 작약과 오미자는 신 맛을 띠므로 신 맛은 수렴하는 쪽이니까 폐가 수렴하지 않을 때 이 약을 쓰면 된다고 한다. 전형적인 오류다. 백작약을 실제 폐가 수렴하지..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본초연의(本草衍義)을 중심으로.
1. 원문. 五味子, 言溫, 今食之多致虛熱, 小兒益甚. 以謂除熱氣, 又謂暖水臟, 又曰除煩熱. 後學至此多惑. 今旣用之治肺虛寒, 則更不取除煩熱之說. 補下藥亦用之. 入藥生曝不去子.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 言溫, 今食之多致虛熱, 小兒益甚. 오미자는 신농본초경에서 말하길 성질이 따뜻하여 오늘날 오미자를 많이 먹으면 허열에 이른다. 소아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 -> 신농본초경에서 오미자를 논한 것을 인용하고 있다. 오미자의 성질이 따뜻하기에 음허로 인한 허열이 있을 때 허열을 더 심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어느정도 일리가 있다. 다른 처방을 보면 이 경우를 염려하여 황금이나 황백을 조금씩 섞었다. 음허를 치료하는 처방을 보면 허열을 꺼주는 약을 보약과 함께 쓰는 경우가 있는데 허열을 식히기 ..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본경소정(本經疏証)을 중심으로. (1)
1. 원문. 五味子所治之證, 僅言咳逆, 則兼言上氣, 如射乾麻黃湯之咳而上氣, 喉中水鷄聲, 小靑龍加石膏湯之肺脹咳逆上氣, 煩躁而喘也. 夫傷寒有傷寒之關鍵, 無論其太陽, 少陽, 少陰, 凡咳者均可加入五味子, 乾薑, 雜症自有雜症之體裁, 卽咳而脈浮, 厚朴麻黃湯主之一語, 已通槪全書大旨, 試觀 中有脈沈而用五味子者否? 蓋五味子原只能收陽中之陰氣, 餘則皆非所宜.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所治之證, 僅言咳逆, 則兼言上氣, 如射乾麻黃湯之咳而上氣, 喉中水鷄聲, 小靑龍加石膏湯之肺脹咳逆上氣, 煩躁而喘也. 오미자가 치료하는 증상은 상한론에서 다만 말하길 기침과 역증이라고 했다. 금궤요략에서는 더불어 말하길 상기증이라고 했다. 사건마황탕 같은 것으로 기침과 상기증, 목에서 닭이 우는 소리를 다스리고 소청룡탕에 석고를 더한 탕으로..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본초구원(本草求原)을 중심으로. (2)
본초구원에 언급된 오미자의 효능이 너무 많아서 2파트로 나눠서 리뷰했다. 오미자에 관한 기본적인 기전과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본초구원이 제일 낫다고 생각한다. 본초구원에서는 오미자에 대해 기초적인 이야기를 상세히 풀어놓고 있다. 처음 공부하려면 이 책에서 나온 구문이 딱이다. 1. 원문. 總之, 肺氣隨陰以下降, 則氣化精而精盈, 腎水從陽以上布, 則精化氣而氣盛, 陰陽二氣, 實一氣之變動, 以肝爲關捩子, 五味專精於肝, 而交合肺腎, 故其效如此, 有不同於他味之酸斂者. 肺氣陽中有陰, 故能降, 治肺氣以陰降爲主. 然元氣之降, 先本於升, 五味升降咸備, 所以陽邪傷陰, 固宜淸陽, 以之收陽, 陰邪傷陽, 亦宜此辛溫暢陽, 而寓收陰. 東垣調寒喘熱喘, 不能拾五味者此也, 惟外邪雜病不關肺氣者忌. 2. 원문 - 해석 - 해설. 總之, ..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본초구원(本草求原)을 중심으로. (1)
1. 원문. 五味子, 爲咳嗽要藥, 凡風寒咳嗽, 傷暑咳嗽, 傷燥咳嗽, 勞傷咳嗽, 腎水虛嗽, 腎火虛嗽, 久嗽喘促, 脈浮虛, 按之弱如葱葉者, 天水不交也, 皆用之. 先賢多疑外感用早, 恐其收氣太驟, 不知仲景傷寒喘帶, 小靑龍湯亦用之, 然必合細辛, 乾薑以升發風寒, 用此以斂之, 則升降靈而咳嗽自止, 從無捨乾薑而單取五味以治咳嗽者. 丹溪又謂其收肺氣之耗散, 卽能除熱, 潛江亦謂其滋肺以除熱, 補腎以暖水, 而聯屬心腎, 凡嗽在黃昏, 是虛火浮入肺中, 忌用寒凉, 止宜重用五味以斂降, 此則不合乾薑, 而合炒麥冬者也.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 爲咳嗽要藥, 凡風寒咳嗽, 傷暑咳嗽, 傷燥咳嗽, 勞傷咳嗽, 腎水虛嗽, 腎火虛嗽, 久嗽喘促, 脈浮虛, 按之弱如葱葉者, 天水不交也, 皆用之. 오미자는 기침을 위한 중요한 약이다. 이 때 기침이란..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분석, 손사막(孫思邈)을 중심으로.
1. 원문. 五月常服五味子以補五臟氣, 遇夏月季夏之間, 因乏無力, 無氣以動, 與黃芪, 人參, 麥門冬, 少加黃檗煎湯服, 使人精神頓加, 兩足筋力湧出. 生用. 六月常服五味子, 以益肺金之氣, 在上則滋源, 在下則補腎. 2. 원문 - 해석 - 해설. 五月常服五味子以補五臟氣, 遇夏月季夏之間, 因乏無力, 無氣以動, 與黃芪, 人參, 麥門冬, 少加黃檗煎湯服, 使人精神頓加, 兩足筋力湧出. 生用. 5월에는 항상 오미자를 복용함으로써 오장의 기운을 보한다. 여름부터 계하(음력 6월 정도)사이에 이르러 피곤하고 무력감이 있어 움직임으로써 기운이 없으면 황기, 인삼, 맥문동과 소량의 황백으로 전탕하여 복용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정신이 갑자기 더해지고 양 발의 근력이 용출한다. (약재는 생 것을 쓴다.) -> 여름에 더워서 기운이 빠지..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분석,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을 중심으로.
1. 원문.五味子主益氣者, 肺主諸氣, 酸能收, 正入肺補肺, 故益氣也. 其主咳逆上氣者, 氣虛則上壅而不歸元, 酸以收之, 攝氣歸元, 則咳逆上氣自除矣. 勞傷羸瘦, 補不足, 强陰, 益男子精. 養五臟, 除熟, 生陰中肌者, 五味子專補腎, 兼補五臟, 腎藏精, 精盛則陰强, 收攝則眞氣歸元, 而丹田暖, 腐熟水穀, 蒸糟粕而化精微, 則精自生, 精生則陰長, 故主如上諸疾也. 2. 원문 - 해석 - 해설.五味子主益氣者, 肺主諸氣, 酸能收, 正入肺補肺, 故益氣也. 오미자는 기를 북돋는 것을 주한다는 것은 폐가 모든 기를 주관하고 오미자는 신 맛으로 수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미자는 정확히 폐로 들어가서 폐를 보하므로 기를 북돋는다. -> 오미자는 5가지 맛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 신 맛이 가장 강하다. 또한 오미자의 귀경 중에는 폐..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분석, 약품화의(藥品化義)을 중심으로.
1. 원문. 五味子, 五味咸備, 而酸獨勝, 能收斂肺氣, 主治虛勞久嗽. 蓋肺性欲收, 若久嗽則肺焦葉擧, 津液不生, 虛勞則肺因氣乏, 煩渴不止, 以此斂之, 潤之, 遂其臟性, 使咳嗽寧, 精神自旺. 但嗽未久不可驟用. 恐肺火鬱遏, 邪氣閉束, 必至血散火淸, 用之收功耳.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 五味咸備, 而酸獨勝, 能收斂肺氣, 主治虛勞久嗽. 오미자는 다섯 가지 맛이 모두 구비되어 있다. 그렇지만 신 맛은 홀로 제일 강해서 폐 기운을 수렴할 수 있고 허로로 인한 오래된 기침을 치료하는 것을 주한다. -> 오미자는 다섯 가지 맛이 있어서 이름이 그렇게 지어졌다. 이름만 들어보면 오미자를 먹을 때 다섯 가지 맛이 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막상 먹어보면 신 맛만 난다. 신 맛은 무언가를 수렴하는 쪽에 배속..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분석, 본초강목(本草綱目)을 중심으로.
1. 원문. 五味子, 入補藥熟用, 入嗽藥生用. 五味子酸鹹入肝而補腎, 辛苦入心而補肺, 甘入中宮, 益脾胃.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 入補藥熟用, 入嗽藥生用. 오미자를 보약에 넣을 때는 익혀서 써야하고 기침약에 넣을 때는 생 것을 써야 한다. -> 보약 넣을 때, 기침약에 넣을 때 오미자의 포제가 달라야 함을 말하고 있다. 보약에 넣는다는 것은 육미지황탕에 오미자를 가감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 같다. 보익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오미자를 푹 익혀서 넣으면 좋다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생 것으로 넣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익힌 것이나 생 것이나 별 차이 없음) 기침약에 넣는다는 것은 소청룡탕을 말하는 것 같다. 건강, 반하, 세신, 오미자가 마황탕에 더 들어가는 것이 소청룡탕이다. 기침 + 가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