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추(大棗), 효능, 약품화의(藥品化義)을 중심으로.
이번에 공부할 조문은 대단히 짧다. 짧아서 별 내용은 없고 언급된 처방이 몇 개 있는데 그 중 중요한 것을 골라 내가 나름 해설을 달았다. 방제를 이해하는 건 이런 식으로 보면 되는구나 정도로 가볍게 읽고 넘어가면 된다. 1. 원문. 大黑棗, 助陰補血, 入肝走腎, 主治虛勞, 善滋二便, 凡補肝腎藥中, 如滋陰降火湯, 茯苓補心湯, 產後芎歸調血飮, 保胎丸, 養榮丸, 四神丸, 俱宜爲佐使, 因性味甘溫, 尤能扶脾養胃耳. 2. 원문 - 해석 - 해설. 大黑棗, 助陰補血, 入肝走腎, 主治虛勞, 善滋二便, 凡補肝腎藥中, 如滋陰降火湯, 茯苓補心湯, 產後芎歸調血飮, 保胎丸, 養榮丸, 四神丸, 俱宜爲佐使, 因性味甘溫, 尤能扶脾養胃耳. 대추는 음과 혈을 동시에 보하고 간으로 들어가고 신장으로 들어간다. 허로를 주치하며 대소변이 ..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분석, 약품화의(藥品化義)을 중심으로.
1. 원문. 五味子, 五味咸備, 而酸獨勝, 能收斂肺氣, 主治虛勞久嗽. 蓋肺性欲收, 若久嗽則肺焦葉擧, 津液不生, 虛勞則肺因氣乏, 煩渴不止, 以此斂之, 潤之, 遂其臟性, 使咳嗽寧, 精神自旺. 但嗽未久不可驟用. 恐肺火鬱遏, 邪氣閉束, 必至血散火淸, 用之收功耳.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 五味咸備, 而酸獨勝, 能收斂肺氣, 主治虛勞久嗽. 오미자는 다섯 가지 맛이 모두 구비되어 있다. 그렇지만 신 맛은 홀로 제일 강해서 폐 기운을 수렴할 수 있고 허로로 인한 오래된 기침을 치료하는 것을 주한다. -> 오미자는 다섯 가지 맛이 있어서 이름이 그렇게 지어졌다. 이름만 들어보면 오미자를 먹을 때 다섯 가지 맛이 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막상 먹어보면 신 맛만 난다. 신 맛은 무언가를 수렴하는 쪽에 배속..
더보기
택사(澤瀉), 효능 분석, 약품화의(藥品化義)를 중심으로.
택사, 저령, 복령 3가지 약의 차이점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귀경도 족태양방광경, 족소음신경 이렇게 단순히 적어놨는데 어떤 기전으로 귀경이 이렇게 되어 있는지 알아내는 것도 중요하다. 1. 원문. 凡屬瀉病, 小水必短數, 以此(澤瀉)淸潤肺氣, 通調水道, 下輪膀胱, 主治水瀉濕瀉, 使大便得實, 則脾氣自健也. 因能利水道, 令邪水去, 則眞水得養, 故消渴能止, 又能除濕熱, 通淋瀝, 分消痞滿, 透三焦蓄熱停水, 此利水第一良品. 若小便不通而口渴者, 熱在上焦氣分, 宜用澤瀉, 茯苓以淸肺氣, 滋水之上源也. 如口不渴者, 熱在下焦血分, 則用知母, 黃柏以瀉膀胱, 滋水之下源也. 須分別而用. 2. 원문 - 해석 - 해설. 凡屬瀉病, 小水必短數, 以此(澤瀉)淸潤肺氣, 通調水道, 下輪膀胱, 主治水瀉濕瀉, 使大便得實, 則脾..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