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의보감 잡병편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치료할 수 있는 증상과 어려운 증상(可治難治證) 凡治病, 察其形氣色澤, 脉之盛衰, 病之新故, 乃治之, 無後其時. 形氣相得, 謂之可治. 대개 병을 치료할 때는 그 형체, 기운, 색과 광택, 맥의 성쇠를 살펴야 한다. 병이 새로 생긴 병인지 원래 오래 앓았던 병인지 구분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치료해야할 때에 뒤쳐져서는 안 된다. 형체와 기운이 서로 상응하면 이것을 일러 치료할 수 있다고 한다. -> 진찰할 때 기본적으로 관찰해야 하는 것들이다. 전체적인 형체에는 문제가 없는지, 숨은 잘 쉬는지, 얼굴색과 광택에는 이상이 없는지, 맥은 정상인지 확인해야 한다. 이들이 모두 조화로우면 치료하기 쉽다. 色澤以浮, 謂之易已. 脉從四時, 謂之可治. 脉弱以滑, 是有胃氣, 命曰易治, 取之以時. 색과 광택이 잘 떠올라 있으면 쉽게 치료할 따름이라고 이른다. 맥이 사계절.. 더보기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오장이라는 것은 몸을 강하게 한다.(五臟者身之强) 에서 인용한 동의보감 구절이다. 五藏者, 身之强也. 頭者, 精明之府, 頭傾視深, 精神將奪矣. 오장이라는 것은 몸을 강하게 한다. 머리는 정명의 곳간이다. 머리가 기울어지고 한 곳을 깊이 응시하기만 하는 것은 정신이 장차 나가려고 하는 것이다. -> 머리가 기울어진다고 말하는 것은 사경증을 말하는 것 같다. 신생아 분만시 손상으로 사경증이 많이 발생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건 어른에 해당하므로 분만시 손상은 아닌 것 같다. 무슨 원인인지는 추정해야 하는데 어찌 됐든 한의학적인 이유로 보자면 거의 대부분 진액 부족인 경우가 많다. 진액 부족의 원인은 다른 증상을 관찰하여 판단하는게 옳다. 한 곳을 깊이 응시하는 것은 직시를 말하는 것 같다. 거의 100% 진액 부족이 맞다. 다른 증상을 꼭 종합하여 변증해야 한.. 더보기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병을 진찰하는 법(診病之道) 內經曰, 善診者, 察色按脉, 先別陰陽, 審淸濁而知部分, 視喘息, 聽音聲而知所苦 내경에서 말하길 진찰을 잘 하는 자는 안색을 진찰하고 맥을 눌러봐서 먼저 음양을 구별하고 청탁(맑은 것과 탁한 것)을 관찰하고 부분(병의 위치)을 안다. 숨 쉴 때 어깨가 들썩이는 것을 보고 말하는 소리를 들어 고통스러운 바가 무엇인지 안다. -> 진찰을 할 때 얼굴 색이 어떤지는 진료실에 환자가 들어오면서 관찰하여 알 수 있다. 그리고 맥을 짚음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대략적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여기서 음양을 구별하라는 얘기는 이것저것 구별하라는 걸 길게 쓰기 귀찮아서 함축적으로 쓴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맥이 살짝만 눌러도 느껴지는지(양), 맥을 깊게 눌러봐야 느낄 수 있는지(음), 안색이 밝은지(양), 안색이 어두운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