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치료할 수 있는 증상과 어려운 증상(可治難治證)
凡治病, 察其形氣色澤, 脉之盛衰, 病之新故, 乃治之, 無後其時. 形氣相得, 謂之可治. 대개 병을 치료할 때는 그 형체, 기운, 색과 광택, 맥의 성쇠를 살펴야 한다. 병이 새로 생긴 병인지 원래 오래 앓았던 병인지 구분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치료해야할 때에 뒤쳐져서는 안 된다. 형체와 기운이 서로 상응하면 이것을 일러 치료할 수 있다고 한다. -> 진찰할 때 기본적으로 관찰해야 하는 것들이다. 전체적인 형체에는 문제가 없는지, 숨은 잘 쉬는지, 얼굴색과 광택에는 이상이 없는지, 맥은 정상인지 확인해야 한다. 이들이 모두 조화로우면 치료하기 쉽다. 色澤以浮, 謂之易已. 脉從四時, 謂之可治. 脉弱以滑, 是有胃氣, 命曰易治, 取之以時. 색과 광택이 잘 떠올라 있으면 쉽게 치료할 따름이라고 이른다. 맥이 사계절..
더보기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새로 생긴 병인지 오래 앓은 병인지 점치는 법(占新久病)
脉小弱以澁者, 謂之久病, 脉滑浮而疾者, 謂之新病. 맥이 소(小)하고 약(弱)하면서 삽(澁)한 것은 오래된 병이다. 맥이 매끄럽고(滑) 떠 있으면서(浮) 빠르면(疾) 이르기를 새로 생긴 병이다. -> 맥법으로 병을 분류하고 있다. 맥을 볼 때는 손으로 눌러서 맥이 어디부터 느껴지는지를 봐야 한다.(깊이) 그리고 맥의 가로 폭이 어느정도 되는지 봐야 한다.(폭) 마지막으로 맥의 빠르기를 본다.(속도) 이 3가지를 기본으로 보는 것이 맥법의 시작이다. 맥법을 보는 법 깊이, 폭, 속도 3가지를 확인했다면 맥을 느낄 때 맥이 벽을 긁으며 가는 듯한, 즉 저항이 느껴지는지, 저항이 없이 그냥 매끄럽게 잘 가는지 확인해야 한다. 맥의 위치 특성 깊이 부, 침 폭 대, 소 속도 지, 삭 저항 활, 삽 이정도만 봐도 ..
더보기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병을 관찰하는 오묘한 기틀(察病玄機) (2)
言遲者, 風也. 搖頭言者, 其裏痛也. 行遲者, 表强也. 坐而伏者, 短氣也. 坐而下一膝者, 必腰痛也. 裏實護腹如懷卵者, 必心痛也. 息搖肩者, 心中堅也. 息引胸中上氣者, 咳也. 息張口短氣者, 肺痿吐沫也. 말을 느리게 하는 것은 풍이다. 머리를 흔들면서 말하는 것은 리(속)의 통증이다. 행동이 느려진 것은 표(피부)가 강성해진 것이다. 앉아 있고 누워있기만 한 것은 숨을 짧게 쉬는 것이다. 앉아 있고 한 쪽 무릎을 아래로 내리고 있는 것은 반드시 허리가 아픈 것인다. 리(속)이 실하고 배를 보호하는 것이 계란을 품듯 하는 것은 반드시 심통이다. 숨쉴 때 어깨를 들썩거리는 것은 명치가 단단해진 것이다. 숨 쉴 때 가슴을 끌어당기고 기가 위로 치밀어오르는 것은 기침하는 것이다. 숨쉴 때 입을 벌리고 숨이 짧은 것..
더보기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병을 관찰하는 오묘한 기틀(察病玄機) (1)
靈樞曰, 五藏爲紀, 陰陽定矣. 陰者主藏, 陽者主府, 陽受氣于四末, 陰受氣于五藏. 영추에서 말하길 오장은 기틀이 되어 음양을 정한다. 음이라는 것은 장을 주관하고 양이라는 것은 부를 주관한다. 양은 사지에서 기를 받고 음은 오장으로부터 기를 받는다. -> 오장육부라는 말은 한의학을 잘 모르는 사람도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오장, 육부는 다시 장(藏)과 부(府)로 구분할 수 있다. 장(藏)은 음으로 구분하고 부(府)는 양으로 구분한다. 장(藏)은 간, 심, 비, 폐, 신 같은 장기이다. 이러한 장기에는 영양분이 흡수되어 있는 곳이므로 상대적인 음으로 구분한다. 부(府)는 담, 심포, 위, 삼초, 방광 같은 어떤 음식물이나 노폐물이 지나다니는 통로다. 그래서 상대적인 양으로 구분한다. 단순히 장과 부를 음양으..
더보기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오색으로 길흉을 점치다(五色占吉凶) (1)
夫心者, 五藏之專精也. 目者, 其竅也, 華色者, 其榮也. 대개 심장이라는 것은 오장의 정(精)을 전적으로 맡는다. 눈이라는 것은 구멍이다. 색이 반짝반짝한 것은 그 기능이 무성한 것이다. -> 내경에서 말하길 심장은 오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한다. 눈빛이 반짝반짝하면 오장의 기능이 좋다는 말 또한 있다. 夫精明五色者, 氣之華也. 赤欲如帛裹朱, 不欲如赭. 白欲如鵝羽, 不欲如鹽. 靑欲如蒼璧之澤, 不欲如藍. 黃欲如羅裹雄黃, 不欲如黃土. 黑欲如重漆色, 不欲如地蒼(一本地蒼作炭.) 註曰, 精明穴名也. 在明堂左右, 兩目內眥也. 五氣之精華者, 上見爲五色, 變化於精明之間也. 정명에서의 5색은 기를 나타낸다. 붉은 색은 비단으로 주사(약재 이름)를 둘둘 둘러 쌀 때 비치는 색과 같아야 하고 붉은 흙과 같으면 안 된다..
더보기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명당에서 안색을 관찰하기(明堂察色)
雷公問曰, 五色獨決于明堂, 小子未知, 其所謂也. 黃帝曰, 明堂者, 鼻也. 闕者, 眉間也. 庭者, 顔也. 卽額也. 蕃者, 頰側也. 蔽者, 耳門也. 其間欲方大, 去之十步, 皆見于外, 如是者, 壽必中百歲. 뇌공이 물어 말하길, 다섯 가지 색깔은 오직 명당에서 결정된다고 하니, 소자(자신을 낮춰 이르는 말)가 그것이 이르는 바를 알지 못 하겠습니다. 황제가 말하길 명당이라는 것은 코다. 궐이라는 것은 미간이다. 정이라는 것은 얼굴이다. (얼굴=이마) 번이라는 것은 뺨 양쪽이다. 폐는 귓구멍이다. 이것들이 모두 각이 잘 잡혀있고 크다면 열 보 떨어진 곳에서도 외면이 모두 보이니 이와 같은 자는 수명이 반드시 100세에 달한다. -> 황제내경 영추에서 얼굴에서의 한자 명칭이 무엇을 뜻하는지 명확히 정의하고 있다. ..
더보기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병을 진찰하는 법(診病之道)
內經曰, 善診者, 察色按脉, 先別陰陽, 審淸濁而知部分, 視喘息, 聽音聲而知所苦 내경에서 말하길 진찰을 잘 하는 자는 안색을 진찰하고 맥을 눌러봐서 먼저 음양을 구별하고 청탁(맑은 것과 탁한 것)을 관찰하고 부분(병의 위치)을 안다. 숨 쉴 때 어깨가 들썩이는 것을 보고 말하는 소리를 들어 고통스러운 바가 무엇인지 안다. -> 진찰을 할 때 얼굴 색이 어떤지는 진료실에 환자가 들어오면서 관찰하여 알 수 있다. 그리고 맥을 짚음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대략적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여기서 음양을 구별하라는 얘기는 이것저것 구별하라는 걸 길게 쓰기 귀찮아서 함축적으로 쓴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맥이 살짝만 눌러도 느껴지는지(양), 맥을 깊게 눌러봐야 느낄 수 있는지(음), 안색이 밝은지(양), 안색이 어두운지..
더보기
동의보감 읽기 - 잡병편(雜病篇) 1권 - 심병(審病) - 神聖工巧(신, 성, 공, 교)
동의보감은 내경편, 외경편, 잡병편, 탕액편, 침구편 총 5가지 편으로 나뉜다. 이 중 잡병편을 처음부터 끝까지 자세히 읽어보려고 한다. 나름 읽다보면 이론 정리도 되고 여러 처방도 알게 되고 재밌다(?) 원문 - 해석 - 해설의 순서로 되어 있다. 해석과 이에 대한 해설은 내가 공부하면서 직접 작정했다. 보통 의서를 읽을 때는 한자 부분은 잘 안 읽고 해석 부분만 읽는게 보통이다. 왜냐면 한자 부분을 읽기가 시간도 오래 걸리고 힘드니까 당연하다. 그래도 처음 공부할 때는 한자는 한 번 봐주고 다음부터는 해석을 읽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의외로 해석이 앞뒤가 잘 안 맞는 부분이 좀 있어서 그 때는 원문을 보면 이해하기 쉬울 때가 자주 있다. 원문 - 해석 - 해설 靈樞曰, 望而知之謂之神, 聞而知之謂之聖,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