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초(약초) 이야기/백출, 창출, 백복령, 적복령, 저령, 택사

택사(澤瀉), 효능 분석, 본초휘언(本草彙言)을 중심으로.

택사 5조각.

1. 원문.

方龍潭云, 澤瀉有固腎治水之功, 然與猪苓又有不向者, 蓋猪苓利水, 能分泄表間之邪, 澤瀉利水, 能宣
通內臟之濕.

澤瀉, 利水之主藥. 利水, 人皆知之矣. 丹溪又謂能利膀胱, 包絡之火, 膀胱包絡有火, 病癃閉結脹者,
火瀉則水行, 行水則火降矣, 水火二義, 並行不悖.

 

2. 원문 - 해석 - 해설.

方龍潭云, 澤瀉有固腎治水之功, 然與猪苓又有不向者, 蓋猪苓利水, 能分泄表間之邪, 澤瀉利水, 能宣通內臟之濕.

 

方龍潭가 이르기를 택사는 신장을 튼튼히 하여 물에 대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저령과 더불어 또한 같은 방향이 있지 않은 것은 대개 저령은 물을 통하게 하지만 표(피부) 사이의 나쁜 기운을 분별하여 내보낸다. 택사는 물을 통하게 하지만 내장의 습을 잘 통하게 한다.

 

-> 저령, 복령, 택사는 모두 물을 통하게 하고 습을 빨아들이며 물길을 여는 작용을 한다. 다만 셋 사이에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특히, 저령과 택사는 꼭 구분해야 한다. 이전에 공부했던 내용은 저령은 택사보다 효능이 훨씬 강력하여 물길을 통하게 할 때 저령이 택사보다 몸의 정기를 훨씬 많이 끌어서 쓴다고 했다. 그래서 비유하기를 택사는 저령에 비해 음(陰)을 보존하는 효능이 훨씬 강하다고 했다.

 

본초 효능 차이
택사 내장의 습을 제거
저령 피부의 습을 제거

澤瀉, 利水之主藥. 利水, 人皆知之矣.

택사는 물을 통하게 하는 주요한 약이다. 물을 통하게 한다는 것은 사람들이 모두 아는 바다.

 

-> 택사가 물길을 열고 물을 통하게 하는 것은 의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丹溪又謂能利膀胱, 包絡之火, 膀胱包絡有火, 病癃閉結脹者, 火瀉則水行, 行水則火降矣, 水火二義, 並行不悖.

주단계는 거듭 이르기를 택사가 방광과 포락의 화기를 통하게 한다고 했다. 방광과 포락에 화가 있다면 융폐, 결창이라는 병에 걸린 것이다. 이것은 화가 새어나가면 물이 행할 수 있고 물을 행하게 하면 화가 내려가 없어진다. 물과 불 2가지 뜻은 같이 이해해야지 모순되는 것이 아니다.

 

-> 택사의 귀경에 따른 이해를 해야한다는 주단계 선생의 말씀이시다. 택사는 족소음신경에 귀경한다. 방광과 포락은 모두 신장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말하는 방광과 포락의 화기는 족소음신경에서 나온 것이다. 즉, 신장의 음허로 인해 신장의 양기가 방광과 포락으로 새어나가는 현상이다. 음허화왕이라고 보면 된다.

융폐라는 병은 다시 융과 폐로 나뉠 수 있다. 엄밀히 구분하면 둘은 다른 병인데 그냥 여기서는 하나로 퉁쳐서 소변이 잘 안 나오는 증상으로 생각하면 된다. 결창이라는 것은 아랫배가 뭉치고 배가 빵빵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뭔가 족소음신경 쪽에 이상이 있는 것이라고 힌트가 생기지 않는가?

화사(火瀉)라는 것은 신장의 음허로 인해 생긴 허화(虛火)로 인해 비장 기능에 문제가 생기고 이에 따라 진액이 전신에 잘 퍼지지 않아 온 몸이 퉁퉁 붓는 것을 빗대어 2단어로 표현한 것이다. 즉, 허화(虛火)를 제거한다는 개념으로 치료에 접근한 것이다. 택사를 써서 허화(虛火)를 잠재우고 택사를 따라 같이 족소음신경에 귀경할 약재인 육계, 부자를 써서 신장의 양기를 북돋고 숙지황, 육종용 등으로 신장의 음기를 채워주는 쪽으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 우귀음과 좌귀음 사이의 어딘가일 것이리라..

행수(行水)라는 것은 온 몸이 퉁퉁 붓는 것에 집중한 치료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택사로 족소음신경의 허화(虛火)를 꺼준다기보다는 비장 근처의 습을 제거하는 방향에 치중한 치료법이다. 복령, 택사 등으로 습을 제거하여 비장 본연의 기능이 회복되도록 도와 전신의 습이 제거되도록 생각한 것이다.

여기서 보면 화사(火瀉), 행수(行水) 모두 물과 불로 나뉘어 전혀 다른 치료법으로 보이지만 사실 같은 치료법이다. 원인 자체가 신장의 음허로 생긴 것이기에 그로 인한 여러 증상 중 어떤 것에 집중할 것인가에 따라 화사(火瀉), 행수(行水)라는 이름이 붙인 것이지 질병의 원인이 달라진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