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쉬운 본초(약초) 이야기 오수혈(五腧穴), 원락극모수(原絡郄募兪) 이해하기. 부호 經絡 井정혈 滎형혈 兪수혈 經경혈 合합혈 原穴 원혈 絡穴 경혈 郄穴 극혈 募穴 모혈 背兪 배수혈 LU 手太陰 肺經 少商 소상 魚際 어제 太淵 태연 經渠 경거 尺澤 척택 太淵 태연 列缺 열결 孔最 공최 中府 중부 肺兪 폐수 LI 手陽明 大腸經 商陽 상양 二間 이간 三間 삼간 陽谿 양계 曲池 곡지 合谷 합곡 偏歷 편력 溫溜 온류 天樞 천추 大腸兪 대장수 ST 足陽明 胃經 厲兌 여태 內庭 내정 陷谷 함곡 解谿 해계 足三里 족삼리 衝陽 충양 豐隆 풍륭 梁丘 양구 中脘 중완 胃兪 위수 SP 足太陰 脾經 隱白 은백 大都 대도 太白 태백 商丘 상구 陰陵泉 음릉천 太白 태백 公孫 大包 공손, 대포 地機 지기 章門 장문 脾兪 비수 HT 手少陰 心經 少衝 소충 少府 소부 神門 신문 靈道 영도 少海 소해 神門 신문 通.. 더보기
  • 쉬운 본초(약초) 이야기 한의학의 오행귀류표 오행五行 오장五臟 오부五腑 오체五體 오관五官 오화五華 목木 간肝 담膽 근筋 목(눈)目 조(손톱)爪 화火 심心 소장小腸 맥脈 설舌 면面 토土 비脾 위胃 기육肌肉 구(입)口 순(입술)脣 금金 폐肺 대장大腸 피皮 비(코)鼻 모(털)毛 수水 신腎 방광膀胱 골骨 이(귀)耳 발(털)髮 한의학을 공부할 때 이정도 오행귀류표 정도는 외우고 있으면 좋다. 단, 주의할 점은 외울 제발 동양철학과 연관은 안 했으면 좋겠다. 어디까지나 한의학의 발전 과정이 천 년을 넘어서는 긴 시간 연속성이 있기 때문에 옛날에 있던 동양철학 사상과 한의학이 연결되어 서로 용어 차용을 많이 했기 때문에 목화토금수.. 같은 용어가 붙은 것이다. 예를 들어서 비위는 토라는 오행에 배속되어 있다. 이걸 외워야 하는데 왜 그러냐면 옛날에 의학 문헌을.. 더보기
  • 황기, 당삼 국산 황기 vs 중국산 황기, 어떤 황기가 양품인가? 시중에는 (의약품용이든 식품용이든) 황기가 국산, 중국산 크게 2가지로 나눠 유통되고 있다. 누구는 국산 황기가 좋다고 하고 누구는 중국산 황기가 좋다고 한다. 누구 말이 대체 맞는 말인가? 어떤 산지의 황기가 좋은 걸 떠나서 국산, 중국산 황기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황기의 기원 식물을 확인하고 표면 관찰을 통해 답을 찾아보도록 하겠다. 1. 기원 식물.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또는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siao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또는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siao Astragalus membranaceus b.. 더보기
  • 당귀, 천궁, 백작약 토천궁 vs 일천궁 vs 중국천궁 vs 당귀 비교하기. 천궁이라고 다 같은 천궁이 아니다. 천궁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토천궁, 일천궁, 중국천궁 3가지다. 각각의 천궁은 효능도 조금씩 다르고 특성도 다르다. 당연히 기원도 다르다.천궁의 기원을 확인하여 3가지 천궁을 구분하고 마지막으로 당귀와 천궁을 비교해보겠다. 1. 천궁의 기원 비교일천궁 : Cnidium officinale makino.중국천궁 : Ligusticum chuanxiong Hort. 뿌리줄기를 쓴다. 중국약전에서는 [중국천궁 : Ligusticum chuanxiong Hort.]만 천궁으로 인정하고 있다.대한민국약전 기준으로는 [일천궁, 중국천궁]만을 천궁으로 인정한다. 즉, 우리나라에서는 일천궁, 중국천궁만 써야 한다! 천궁을 사면 국산이라고 적혀있는데 대부분 이것은 국내에서 일천궁 .. 더보기
  • 쉬운 본초(약초) 이야기 주요상용혈(主要常用穴), 특수혈 살펴보기 사관혈(四關穴) 合谷합곡 太衝태충 소화기 질환, 간기울결, 관격, 풍한습비, 기혈을 조화시킬 필요가 있을 때, 눈, 코, 입, 귀에 문제가 있을 때 사관혈은 수태양대장경의 원혈인 합곡과 족궐음간경의 원혈인 태충 2개로 이뤄져 있다. 무언가 막힌 것을 뚫어준다는 느낌으로 이 혈을 쓰면 된다. 소화가 잘 안 되어 배가 아플 때 이런 혈위를 많이 취혈한다. 사총혈(四總穴) 合谷합곡(입, 얼굴) 列缺열결(頭項) 委中위중(腰背) 足三里족삼리(肚腹) 사총혈은 4가지 혈자리로 이뤄져 있다. 합곡은 수태양대장경의 원혈, 열결은 수태음폐경의 경혈, 위중은 족태양방광경의 합혈, 족삼리는 족양명위경의 합혈로 이뤄져 있다. 입과 얼굴 쪽에 문제가 있을 땐 합곡혈, 머리가 뒤통수 쪽이 뻣뻣하고 문제가 있을 땐 열결, 허리와 등.. 더보기
오미자

오미자(五味子), 효능, 본초연의보유(本草衍義補遺)을 중심으로.

1. 원문. 五味子, 今謂五味, 實所未曉, 以其大能收肺氣, 宜其有補腎之功, 收肺氣非除熱乎? 補腎非暖水臟乎? 食之多致虛熱, 蓋收腎之驟也, 何惑之有? 火熱嗽必用之.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 今謂五味, 實所未曉, 以其大能收肺氣, 宜其有補腎之功, 收肺氣非除熱乎? 補腎非暖水臟乎? 食之多致虛熱, 蓋收腎之驟也, 何惑之有? 火熱嗽必用之. 오미자는 오늘날 오미(五味)라고 부른다. 진실로 이해하기 어렵다. 오미자는 폐의 기운을 크게 수렴할 수 있으므로 마땅히 신장의 기능을 보할 수 있다. 폐 기운을 수렴함으로써 열을 제거할 수 없을 것인가? 신장을 보함으로써 물에 해당하는 장기를 따뜻하게 할 수 없을 것인가? 오미자를 많이 먹으면 허열에 이르게 된다. 대개 신장을 수렴하는 것을 빠르게 했기 때문이다. 이 이..

더보기

허준총각의 본초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