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쉬운 본초(약초) 이야기 오수혈(五腧穴), 원락극모수(原絡郄募兪) 이해하기. 부호 經絡 井정혈 滎형혈 兪수혈 經경혈 合합혈 原穴 원혈 絡穴 경혈 郄穴 극혈 募穴 모혈 背兪 배수혈 LU 手太陰 肺經 少商 소상 魚際 어제 太淵 태연 經渠 경거 尺澤 척택 太淵 태연 列缺 열결 孔最 공최 中府 중부 肺兪 폐수 LI 手陽明 大腸經 商陽 상양 二間 이간 三間 삼간 陽谿 양계 曲池 곡지 合谷 합곡 偏歷 편력 溫溜 온류 天樞 천추 大腸兪 대장수 ST 足陽明 胃經 厲兌 여태 內庭 내정 陷谷 함곡 解谿 해계 足三里 족삼리 衝陽 충양 豐隆 풍륭 梁丘 양구 中脘 중완 胃兪 위수 SP 足太陰 脾經 隱白 은백 大都 대도 太白 태백 商丘 상구 陰陵泉 음릉천 太白 태백 公孫 大包 공손, 대포 地機 지기 章門 장문 脾兪 비수 HT 手少陰 心經 少衝 소충 少府 소부 神門 신문 靈道 영도 少海 소해 神門 신문 通.. 더보기
-
쉬운 본초(약초) 이야기 한의학의 오행귀류표 오행五行 오장五臟 오부五腑 오체五體 오관五官 오화五華 목木 간肝 담膽 근筋 목(눈)目 조(손톱)爪 화火 심心 소장小腸 맥脈 설舌 면面 토土 비脾 위胃 기육肌肉 구(입)口 순(입술)脣 금金 폐肺 대장大腸 피皮 비(코)鼻 모(털)毛 수水 신腎 방광膀胱 골骨 이(귀)耳 발(털)髮 한의학을 공부할 때 이정도 오행귀류표 정도는 외우고 있으면 좋다. 단, 주의할 점은 외울 제발 동양철학과 연관은 안 했으면 좋겠다. 어디까지나 한의학의 발전 과정이 천 년을 넘어서는 긴 시간 연속성이 있기 때문에 옛날에 있던 동양철학 사상과 한의학이 연결되어 서로 용어 차용을 많이 했기 때문에 목화토금수.. 같은 용어가 붙은 것이다. 예를 들어서 비위는 토라는 오행에 배속되어 있다. 이걸 외워야 하는데 왜 그러냐면 옛날에 의학 문헌을.. 더보기
-
황기, 당삼 국산 황기 vs 중국산 황기, 어떤 황기가 양품인가? 시중에는 (의약품용이든 식품용이든) 황기가 국산, 중국산 크게 2가지로 나눠 유통되고 있다. 누구는 국산 황기가 좋다고 하고 누구는 중국산 황기가 좋다고 한다. 누구 말이 대체 맞는 말인가? 어떤 산지의 황기가 좋은 걸 떠나서 국산, 중국산 황기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황기의 기원 식물을 확인하고 표면 관찰을 통해 답을 찾아보도록 하겠다. 1. 기원 식물.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또는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siao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또는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siao Astragalus membranaceus b.. 더보기
-
당귀, 천궁, 백작약 토천궁 vs 일천궁 vs 중국천궁 vs 당귀 비교하기. 천궁이라고 다 같은 천궁이 아니다. 천궁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토천궁, 일천궁, 중국천궁 3가지다. 각각의 천궁은 효능도 조금씩 다르고 특성도 다르다. 당연히 기원도 다르다.천궁의 기원을 확인하여 3가지 천궁을 구분하고 마지막으로 당귀와 천궁을 비교해보겠다. 1. 천궁의 기원 비교일천궁 : Cnidium officinale makino.중국천궁 : Ligusticum chuanxiong Hort. 뿌리줄기를 쓴다. 중국약전에서는 [중국천궁 : Ligusticum chuanxiong Hort.]만 천궁으로 인정하고 있다.대한민국약전 기준으로는 [일천궁, 중국천궁]만을 천궁으로 인정한다. 즉, 우리나라에서는 일천궁, 중국천궁만 써야 한다! 천궁을 사면 국산이라고 적혀있는데 대부분 이것은 국내에서 일천궁 .. 더보기
-
쉬운 본초(약초) 이야기 주요상용혈(主要常用穴), 특수혈 살펴보기 사관혈(四關穴) 合谷합곡 太衝태충 소화기 질환, 간기울결, 관격, 풍한습비, 기혈을 조화시킬 필요가 있을 때, 눈, 코, 입, 귀에 문제가 있을 때 사관혈은 수태양대장경의 원혈인 합곡과 족궐음간경의 원혈인 태충 2개로 이뤄져 있다. 무언가 막힌 것을 뚫어준다는 느낌으로 이 혈을 쓰면 된다. 소화가 잘 안 되어 배가 아플 때 이런 혈위를 많이 취혈한다. 사총혈(四總穴) 合谷합곡(입, 얼굴) 列缺열결(頭項) 委中위중(腰背) 足三里족삼리(肚腹) 사총혈은 4가지 혈자리로 이뤄져 있다. 합곡은 수태양대장경의 원혈, 열결은 수태음폐경의 경혈, 위중은 족태양방광경의 합혈, 족삼리는 족양명위경의 합혈로 이뤄져 있다. 입과 얼굴 쪽에 문제가 있을 땐 합곡혈, 머리가 뒤통수 쪽이 뻣뻣하고 문제가 있을 땐 열결, 허리와 등.. 더보기
오미자
오미자(五味子), 효능, 본초연의보유(本草衍義補遺)을 중심으로.
1. 원문. 五味子, 今謂五味, 實所未曉, 以其大能收肺氣, 宜其有補腎之功, 收肺氣非除熱乎? 補腎非暖水臟乎? 食之多致虛熱, 蓋收腎之驟也, 何惑之有? 火熱嗽必用之.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 今謂五味, 實所未曉, 以其大能收肺氣, 宜其有補腎之功, 收肺氣非除熱乎? 補腎非暖水臟乎? 食之多致虛熱, 蓋收腎之驟也, 何惑之有? 火熱嗽必用之. 오미자는 오늘날 오미(五味)라고 부른다. 진실로 이해하기 어렵다. 오미자는 폐의 기운을 크게 수렴할 수 있으므로 마땅히 신장의 기능을 보할 수 있다. 폐 기운을 수렴함으로써 열을 제거할 수 없을 것인가? 신장을 보함으로써 물에 해당하는 장기를 따뜻하게 할 수 없을 것인가? 오미자를 많이 먹으면 허열에 이르게 된다. 대개 신장을 수렴하는 것을 빠르게 했기 때문이다. 이 이..
더보기허준총각의 본초 이야기
-
오미자(五味子), 효능, 본초연의보유(本草衍義補遺)을 중심으로. 1. 원문. 五味子, 今謂五味, 實所未曉, 以其大能收肺氣, 宜其有補腎之功, 收肺氣非除熱乎? 補腎非暖水臟乎? 食之多致虛熱, 蓋收腎之驟也, 何惑之有? 火熱嗽必用之.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 今謂五味, 實所未曉, 以其大能收肺氣, 宜其有補腎之功, 收肺氣非除熱乎? 補腎非暖水臟乎? 食之多致虛熱, 蓋收腎之驟也, 何惑之有? 火熱嗽必用之. 오미자는 오늘날 오미(五味)라고 부른다. 진실로 이해하기 어렵다. 오미자는 폐의 기운을 크게 수렴할 수 있으므로 마땅히 신장의 기능을 보할 수 있다. 폐 기운을 수렴함으로써 열을 제거할 수 없을 것인가? 신장을 보함으로써 물에 해당하는 장기를 따뜻하게 할 수 없을 것인가? 오미자를 많이 먹으면 허열에 이르게 된다. 대개 신장을 수렴하는 것을 빠르게 했기 때문이다. 이 이.. 더보기
-
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 - 코 부분(鼻部) (1) 鼻屬肺, 主聲音. 코는 폐에 속하니 코는 성음(소리)를 주관한다. -> 폐의 구멍은 코이다. 그러므로 코는 폐와 관련성이 있다. 五臭. 心焦, 肝燥, 脾香, 肺腥, 腎腐. 다섯 냄새가 있다. 심장에 문제가 있으면 타는 냄새가 나고 간에 문제가 있으면 마른 내?(臊인 것 같다. 누린내)가 나고 비장에 문제가 있으면 향이 나고 폐에 문제가 있으면 생선 비린내가 나고 신장에 문제가 있으면 썩은 내가 난다. -> 코에서 갑자기 이상한 냄새가 나는 것을 말한다. 가끔 환자를 보면 뜬금없이 이상한 냄새가 난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주변에서 진짜 냄새가 나서 그런 경우도 있긴 한데 어떤 경우는 진짜 혼자만 자각적으로 그런 냄새를 맡는다. 누구는 향이 난다고 하고 누구는 갑자기 탄 내가 난다고 하고.. 여러 케이스가 .. 더보기
-
대추(大棗), 효능, 주해상한론(注解傷寒論)을 중심으로. 1. 원문. 茯苓桂枝甘草大棗湯, 大棗之甘, 滋助脾土, 以平腎氣, 十棗湯, 益土而勝水. 2. 원문 - 해석 - 해설. 茯苓桂枝甘草大棗湯, 大棗之甘, 滋助脾土, 以平腎氣, 十棗湯, 益土而勝水. 복령계지감초대조탕(영계감조탕)에서 대추의 단 맛으로 비장을 자윤하고 돕는다. 이로써 신장의 기운을 화평하게 만든다. 십조탕은 토(土)의 기운을 더하고 수(水)를 강하게 만든다. -> 영계감조탕은 장중경의 상한론에 등장하는 처방이다. 분돈증으로 아랫배에서 머리쪽으로 무언가 확 치받는 증상이 있을 때 자주 쓴다. 이러한 분돈증의 원인은 심장 - 신장의 수승화강(水升火降)이 제대로 안 되기 때문에 그렇다. 즉, 심장의 화(火)가 신장의 수(水)를 제대로 덥혀주지 못 한다. 그러므로 신장의 수(水)는 제어되지 못 하고 위로 .. 더보기
-
오미자(五味子), 효능, 용약심법(用藥心法)을 중심으로. 1. 원문. 五味子收肺氣, 補氣不足, 升也. 酸以收逆氣, 肺寒氣逆, 則以此藥與乾薑同用治之.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收肺氣, 補氣不足, 升也. 酸以收逆氣, 肺寒氣逆, 則以此藥與乾薑同用治之. 오미자는 폐 기운을 수렴한다. 기가 부족한 것을 보하며 상승하는 작용을 말한다. 오미자의 신 맛으로써 거슬러오르는 기운을 수렴하며 폐가 차가워서 생기는 기가 거스르는 증상에는 오미자와 건강을 함께 써서 치료한다. -> 오미자는 신 맛에 배속되어 있으며 폐, 신장의 음을 보하는 효능이 있다. 폐 기운은 신장으로부터 이어지는 일련의 기전에 따라 생성된 진액의 도움으로 아래로 내려간다. 즉, 폐의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는게 정상이다. 무언가 잘못되면 기가 위로 거슬러 오른다. 이것을 기침하는 것, 숨을 헐떡이는 것.. 더보기
-
동의보감 잡병편 - 심병(審病), 치료할 수 있는 증상과 어려운 증상(可治難治證) 凡治病, 察其形氣色澤, 脉之盛衰, 病之新故, 乃治之, 無後其時. 形氣相得, 謂之可治. 대개 병을 치료할 때는 그 형체, 기운, 색과 광택, 맥의 성쇠를 살펴야 한다. 병이 새로 생긴 병인지 원래 오래 앓았던 병인지 구분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치료해야할 때에 뒤쳐져서는 안 된다. 형체와 기운이 서로 상응하면 이것을 일러 치료할 수 있다고 한다. -> 진찰할 때 기본적으로 관찰해야 하는 것들이다. 전체적인 형체에는 문제가 없는지, 숨은 잘 쉬는지, 얼굴색과 광택에는 이상이 없는지, 맥은 정상인지 확인해야 한다. 이들이 모두 조화로우면 치료하기 쉽다. 色澤以浮, 謂之易已. 脉從四時, 謂之可治. 脉弱以滑, 是有胃氣, 命曰易治, 取之以時. 색과 광택이 잘 떠올라 있으면 쉽게 치료할 따름이라고 이른다. 맥이 사계절.. 더보기
-
대추(大棗), 효능, 장사약해(長沙藥解)를 중심으로. 1. 원문. 大棗, 補太陰之精, 化陽明之氣, 生津潤肺而除燥, 養血滋肝而熄風, 療脾胃衰損, 調經脈虛芤. 其味濃而質厚, 則長於補血, 而短於補氣. 人參之補土, 補氣以生血也. 大棗之補土, 補血以化氣也. 是以偏補脾精而養肝血. 凡內傷肝脾之病, 土虛木燥, 風動血耗者, 非此不可. 而尤宜於外感發表之際, 蓋肝血一也. 桂枝湯開經絡而泄榮鬱, 不以大棗補其榮陰, 則汗出血亡, 外感去而內傷來矣. 故仲景於中風桂枝諸方皆用之, 補瀉幷行之法也. 十棗湯, 葶藶大棗數方悉是此意. 惟傷寒榮閉衛鬱, 義在泄衛, 不在泄榮, 故麻黃湯不用也. 2. 원문 - 해석 - 해설. 大棗, 補太陰之精, 化陽明之氣, 生津潤肺而除燥, 養血滋肝而熄風, 療脾胃衰損, 調經脈虛芤. 대추는 태음의 정을 보하고 양명의 기를 화하며 진액을 생성하고 폐를 윤택하게 하여 폐가 마른 것.. 더보기
-
오미자(五味子), 효능, 주해상한론(注解傷寒論)을 중심으로. 1. 원문. 曰, 肺欲收, 急食酸以收之. 芍藥, 五味子之酸, 以收逆氣而安肺. 2. 원문 - 해석 - 해설. 曰, 肺欲收, 急食酸以收之. 芍藥, 五味子之酸, 以收逆氣而安肺. 내경에서 말하길 폐는 수렴하려고 하기에 급히 신 맛을 띠는 본초로써 폐를 수렴해야 한다. 작약, 오미자의 신 맛으로 원래대로 흐르지 않고 거슬러 흐르는 기를 수렴하고 폐를 안정시킨다. -> 내경의 말을 인용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덧붙이고 있는 구절이다. 폐는 수렴하니까 어떤 이유로 폐가 수렴하지 않으면 수렴시킬 수 있는 약재로 폐를 수렴해야 한다는게 내경의 견해다. 그런데 여기에다가 작약과 오미자는 신 맛을 띠므로 신 맛은 수렴하는 쪽이니까 폐가 수렴하지 않을 때 이 약을 쓰면 된다고 한다. 전형적인 오류다. 백작약을 실제 폐가 수렴하지.. 더보기
-
오미자(五味子), 효능, 본초연의(本草衍義)을 중심으로. 1. 원문. 五味子, 言溫, 今食之多致虛熱, 小兒益甚. 以謂除熱氣, 又謂暖水臟, 又曰除煩熱. 後學至此多惑. 今旣用之治肺虛寒, 則更不取除煩熱之說. 補下藥亦用之. 入藥生曝不去子. 2. 원문 - 해석 - 해설. 五味子, 言溫, 今食之多致虛熱, 小兒益甚. 오미자는 신농본초경에서 말하길 성질이 따뜻하여 오늘날 오미자를 많이 먹으면 허열에 이른다. 소아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 -> 신농본초경에서 오미자를 논한 것을 인용하고 있다. 오미자의 성질이 따뜻하기에 음허로 인한 허열이 있을 때 허열을 더 심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어느정도 일리가 있다. 다른 처방을 보면 이 경우를 염려하여 황금이나 황백을 조금씩 섞었다. 음허를 치료하는 처방을 보면 허열을 꺼주는 약을 보약과 함께 쓰는 경우가 있는데 허열을 식히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