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문.
茯苓桂枝甘草大棗湯, 大棗之甘, 滋助脾土, 以平腎氣, 十棗湯, 益土而勝水.
2. 원문 - 해석 - 해설.
茯苓桂枝甘草大棗湯, 大棗之甘, 滋助脾土, 以平腎氣, 十棗湯, 益土而勝水.
복령계지감초대조탕(영계감조탕)에서 대추의 단 맛으로 비장을 자윤하고 돕는다. 이로써 신장의 기운을 화평하게 만든다. 십조탕은 토(土)의 기운을 더하고 수(水)를 강하게 만든다.
-> 영계감조탕은 장중경의 상한론에 등장하는 처방이다. 분돈증으로 아랫배에서 머리쪽으로 무언가 확 치받는 증상이 있을 때 자주 쓴다. 이러한 분돈증의 원인은 심장 - 신장의 수승화강(水升火降)이 제대로 안 되기 때문에 그렇다. 즉, 심장의 화(火)가 신장의 수(水)를 제대로 덥혀주지 못 한다. 그러므로 신장의 수(水)는 제어되지 못 하고 위로 치솟아 오른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심장을 보하면서 신장도 같이 보해야 한다. 계지와 감초로 심장을 보하고 복령으로 신장에 넘쳐나는 수기(水氣)를 제거하며 대추로 비위의 음을 보한다. 즉, 심장 - 비위 - 신장 축을 모두 보하여 정상으로 돌리려고 한 것이다.
십조탕은 감수 대극 원화 대추 10개로 이뤄진 처방이다. 감수 대극 원화로 신장에 축적된 물을 빠르게 배설시킨다. 그리고 대추로 비위를 보한다. 여기서 말하는 토(土)는 비위를 말하고 수(水)는 신장을 말한다.
'본초(약초) 이야기 > 생강, 대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추(大棗), 효능, 장사약해(長沙藥解)를 중심으로. (0) | 2020.07.19 |
---|---|
대추(大棗), 효능, 본경봉원(本經逢原)을 중심으로. (0) | 2020.07.17 |
대추(大棗), 효능, 약품화의(藥品化義)을 중심으로. (0) | 2020.07.16 |
대추(大棗), 효능, 본초휘언(本草彙言)을 중심으로. (0) | 2020.07.15 |
대추(大棗), 효능 분석, 본경소증(本經疏證)을 중심으로. (2) (0) | 2020.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