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五行 |
오장五臟 |
오부五腑 |
오체五體 |
오관五官 |
오화五華 |
목木 |
간肝 |
담膽 |
근筋 |
목(눈)目 |
조(손톱)爪 |
화火 |
심心 |
소장小腸 |
맥脈 |
설舌 |
면面 |
토土 |
비脾 |
위胃 |
기육肌肉 |
구(입)口 |
순(입술)脣 |
금金 |
폐肺 |
대장大腸 |
피皮 |
비(코)鼻 |
모(털)毛 |
수水 |
신腎 |
방광膀胱 |
골骨 |
이(귀)耳 |
발(털)髮 |
한의학을 공부할 때 이정도 오행귀류표 정도는 외우고 있으면 좋다.
단, 주의할 점은 외울 제발 동양철학과 연관은 안 했으면 좋겠다. 어디까지나 한의학의 발전 과정이 천 년을 넘어서는 긴 시간 연속성이 있기 때문에 옛날에 있던 동양철학 사상과 한의학이 연결되어 서로 용어 차용을 많이 했기 때문에 목화토금수.. 같은 용어가 붙은 것이다.
예를 들어서 비위는 토라는 오행에 배속되어 있다. 이걸 외워야 하는데 왜 그러냐면 옛날에 의학 문헌을 보면 비위라는 용어를 안 쓰고 그냥 '토'의 작용이 어쩌구 저쩌구~ 이런 식으로 기록된 것이 참 많다. 그러면 그냥 아~ 비위 중에 하나겠거니 하고 이해하기 위해서 오행귀류표를 외우는 것이다.
오장 - 오부는 침구학 쪽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하다. 취혈을 할 때 표리 관계를 이용해 혈위를 취혈할 때가 있는데 이 때 많이 쓰인다.
오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침구쪽에서 정말 많이 쓰이는데 귀가 아플 때는 귀와 연관된 경맥의 유주를 따라 자침하고 원혈, 수혈 등을 많이 쓴다. 이 때도 오행귀류표를 조금 쓴다.
오체, 오화는 많이 쓰이지는 않지만 가끔 변증할 때 조금 쓴다. 예를 들어 침상에 오래 누워 있어 근육이 약해지면 간을 중심으로 변증을 시작해 나갈 때가 있는데 이 때도 오행귀류표를 사용한 예다.
한의학을 공부할 때 오행귀류표는 기초 중에 생기초이므로 그냥 외워두고 여러 서적을 공부해나가면 된다. 이것만 가지고 되는 건 거의 없고 그냥 한의학에서 알파벳 a 같은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쉬운 한의학 이야기 > 쉬운 본초(약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상용혈(主要常用穴), 특수혈 살펴보기 (0) | 2020.07.03 |
---|---|
오수혈(五腧穴), 원락극모수(原絡郄募兪) 이해하기. (0) | 2020.07.02 |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음양오행이 도대체 무엇일까? (0) | 2020.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