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초(약초) 이야기/황기, 당삼

당삼(黨參), 효능 분석, 본초정의(本草正義).

 

당삼, 뇌두도 같이 촬영했다.

 

인삼 쓰기 겁나면 당삼이나 사삼 쓰라는 말이 있다. 실제 인삼은 부작용이 상당해서 정확한 진단과 변증 없이 인삼을 1돈만 써도 불편하다고 호소하는 사람이 참 많다. 과연 인삼을 당삼으로 대체해서 써도 될까? 본초정의는 그에 대한 논의와 함께 해답을 제시한다.

당삼 공부할 땐 백출, 맥문동, 인삼 등 다 함께 공부하는 것이 좋다.


1. 원문.

黨參力能補脾養胃, 潤肺生津, 健運中氣, 本與人參不甚相遠. 其尤可貴者, 則健脾運而不燥, 滋胃陰而不濕, 潤肺而不犯寒凉, 養血而不偏滋腻, 鼓舞淸陽, 振動中氣, 而無剛燥之弊. 且較諸遼參之力量厚重, 而少偏於陰柔, 高麗參之氣味雄壯, 而微嫌於剛烈者, 尤爲得中和之正, 宜乎五臟交受其養而無往不宜也. 特力量較爲薄弱, 不能持久, 凡病後元虛, 每服二, 三錢, 止足振動其一日之神氣, 則信乎和平中正之規模, 亦有不耐悠久者. 然補助中州而潤澤四隅, 故凡古今成方之所用人參, 無不可以潞黨參當之, 卽凡百證治之應用人參者, 亦無不可以潞黨參投之.

 

2. 원문 - 해석 - 해설.

黨參力能補脾養胃, 潤肺生津, 健運中氣, 本與人參不甚相遠.

당삼의 효력은 비위를 보양할 수 있고 폐를 촉촉하게 하여 진액을 만들고 중기(중초의 기운)를 튼튼하게 돌리고 본래 당삼은 인삼과 더불어 깊게 서로 멀지 않다.

 

-> 당삼의 기본 효능은 비위를 보하는 것이다. 비위를 보하여 진액을 만들어 폐로 올려보내고 폐는 그 진액을 전신에 수포한다. 인삼과 비슷한 효능이다.

 

其尤可貴者, 則健脾運而不燥, 滋胃陰而不濕, 潤肺而不犯寒凉, 養血而不偏滋腻, 鼓舞淸陽, 振動中氣, 而無剛燥之弊.

당삼의 효능 중에서 더욱 귀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비장을 튼튼하게 만들어 진액을 잘 돌릴 수 있게 하면서 건조하게 말리지 않고 위장의 음을 자양하면서 습하게 만들지 않고 폐를 촉촉하게 하면서 한랭하게 하지 않고 혈을 보양하면서 기름짐에 편벽되기 않는 것이다. 또한 청양(맑은 기운)을 고무시키며 중기(중초 기운)을 움직이게 만들면서 강렬하게 건조하는 폐단은 없다.

 

-> 비장을 튼튼하게 만든다는 것은 비양(脾陽)를 보하는 것을 말한다. 백출은 비양(脾陽)을 보하면서 비장을 건조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비되는 것이 당삼이다.

위장의 음을 자양하게 폐를 촉촉하게 만들면서 한랭하게 하지 않는 것은 당삼이 효능이다. 같은 효과를 보이지만 한랭하고 기름기 있는 것은 맥문동이다.

청양의 기운을 고무한다는 것은 비양(脾陽)을 보한다는 것이고 중기를 움직이게 한다는 것은 중초, 즉 비위를 보하는 것이다.

당삼 보는 김에 백출, 맥문동을 꼭 같이 공부했으면 좋겠다.

 

且較諸遼參之力量厚重, 而少偏於陰柔, 高麗參之氣味雄壯, 而微嫌於剛烈者, 尤爲得中和之正, 宜乎五臟交受其養而無往不宜也.

 

 또한 요삼과 비교해봤을 때 당삼은 후중(무겁고 기름짐)하고 음유(기름짐)에 조금 치우쳐 있다. 고려삼은 성질과 맛이 웅장하다(강하다). 강렬한 것이 조금 싫다면 더욱이 중화시키는 것을 얻어야 한다. 오장은 당삼의 보양하는 기운을 넘겨받아 기능을 잘 한다.

 

-> 요삼, 당삼, 고려삼을 비교한다. 당삼은 셋 중에 가장 기름지다. 즉, 보하는 성질이 가장 강하다. 고려삼은 맹렬한 성질이 강하다. 일반적으로 극단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당삼을 쓰는 것이 가장 좋다는 말이다.

 

特力量較爲薄弱, 不能持久, 凡病後元虛, 每服二, 三錢, 止足振動其一日之神氣, 則信乎和平中正之規模, 亦有不耐悠久者.

다만 당삼의 효력은 비교적 약해서 오래 지속할 수 없다. 대개 병을 앓고 난 후에 원기가 허하면 매 번 복용할 때 2, 3돈을 먹어도 다만 하루에 필요한 원기를 움직이는데 만족해야 한다. 곧, 중초(소화기)를 화평하게 하는 정도는 믿을 수 있으나 그 효력이 오래 지속되는 것과는 멀다.

 

-> 당삼은 비위를 보할 수 있으나 효력이 상당히 약하다고 말하고 있다.

 

然補助中州而潤澤四隅, 故凡古今成方之所用人參, 無不可以潞黨參當之, 卽凡百證治之應用人參者, 亦無不可以潞黨參投之.

그러한 연유로 중초의 기운을 보조하고 사방을 윤택하게 한다. 그러므로 대개 옛날과 지금의 완성된 처방의 인삼이 쓰이는 바를 로당삼(당삼)으로 마땅히 쓸 수 있다. 곧 대개 모든 증상을 고치는 데에 인삼이 쓰이는 것은 또한 로당삼(당삼)을 투여할 수 있다.

 

-> 당삼은 인삼을 대신해서 쓸 수 있다고 말한다. 물론 인삼보다는 효력이 당연히 약하다. 사군자탕이나 독활기생탕 등을 쓸 때 원방 그대로 쓰면 가끔 머리가 터질 것 같고 잘 때 머리에서 열이 펄펄 나서 도저히 못 자겠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인삼을 써서 상열감이 심한 경우다. 이 때 석고를 조금 섞어서 써도 괜찮지만 가능하다면 당삼으로 바꾸는게 낫다. 괜히 사삼 쓴다고 했다가 속 쓰리다고 불편감 호소하는 경우가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