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초(약초) 이야기/생강, 대추

생강(生薑), 효능 분석, 본초신편(本草新編)을 중심으로.

 

냉동실에서 갓 꺼낸 생강.

생강의 껍질을 벗기는 여부에 따라 생강의 효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이전 포스팅에서 자세히 살펴봤다. 또한 생강이 비위를 보하는 기능 이외에 어혈을 제거할 수 있고 심폐에 귀경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의학입문에서 언급한 생강의 효능 외에 본초신편에서는 생강에 대해 어떻게 논했는지 한 구절씩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本草新編

薑通神明, 古誌之矣, 然徒用一二片, 欲遽通明, 亦必不得之數. 或用人參, 或用白朮, 或用石菖蒲, 或用丹砂, 彼此相劑. 而後神明可通, 邪氣可闢也. 生薑性散. 能敗風邪, 傷風小恙, 何必用桂枝, 用生薑三錢搗碎, 加薄荷二錢, 滖水冲服, 邪卽時解散. 或問生薑發汗, 不宜常服, 有之乎? 曰, 生薑四時皆可服. 但不宜多服散氣, 豈特發汗哉. 然而多服則正受傷, 少服刖正氣無害, 又不可過於避忌坐視, 而不收其功也. 至於偶受陰寒, 如手足厥逆, 腹痛繞臍而不可止, 不妨多用生薑, 搗碎炒熱,  熨於心腹之外, 以祛其內寒也.

 

薑通神明, 古誌之矣, 然徒用一二片, 欲遽通明, 亦必不得之數.

생강은 신명을 통하게 하는 것을 옛날 사람들은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단지 생강을 1~2쪽 쓰는 것으로 빨리 신명을 통하게 욕심내면 또한 반드시 빠르게 효과를 얻을 수 없다.

 

-> 생강의 귀경이 심心에 있음을 말한다. 의학입문과 동일한 내용이다. 생강의 귀경이 비위 말고 심장에 있는 것을 옛날 의사들도 많이 알고 있었다는 뜻이다. 다만 생강의 효능이 약해 1~2쪽 쓰는 것으로는 차도를 볼 수 없다.

 

或用人參, 或用白朮, 或用石菖蒲, 或用丹砂, 彼此相劑. 而後神明可通, 邪氣可闢也.

혹 인삼과 함께 쓰는 것, 혹 백출과 함께 쓰는 것, 혹 석창포와 함께 쓰는 것, 혹 단사와 함께 쓰는 것, 이것들은 모두 상제의 원리에 속한다. 같이 쓰면 그 뒤에 신명이 능히 통할 수 있고 안 좋은 기운을 능히 피할 수 있다.

 

-> 생강과 같이 써야 할 약제를 열거하고 있다. 상제의 원리라는 것은 함께 쓰면 좋은 약의 조합을 말한다. 인삼과 생강을 함께 쓰면 인삼으로 비위를 보하여 기운을 보충하는데 이를 생강이 더욱 증폭한다. 백출도 마찬가지이다.

 

生薑性散. 能敗風邪, 傷風小恙, 何必用桂枝, 用生薑三錢搗碎, 加薄荷二錢, 滖水冲服, 邪卽時解散.

생강은 발산하는 성질이 있어 능히 풍사를 제거하며 풍으로 인해 상한 작은 병에는 어찌 반드시 계지를 쓰겠는가. 생강 3돈을 찧어 박하 2돈을 더해 빗물에 같이 복용하면 사기가 곧 때에 맞춰 풀어지고 없어진다.

 

->생강의 다른 효능을 하나 더 설명하고 있다. 생강은 비위를 보하고 심폐를 보해 신명을 만든다. 그 외에 생강은 발산하는 성질이 있어 풍한사를 없앤다. 여기서 말하는 상풍傷風은 상한론에서 장중경이 말하는 태양중풍증이다. 땀이 나고 오한이 들며 몸이 아픈 증상이 태양중풍증이다. 이 때는 계지탕으로서 영기와 위기를 조화하면 낫는다. 그런데 태양중풍증도 가벼울 때는 굳이 계지를 쓸 것도 없다고 말한다. 단지 생강과 박하면 충분하다고 말한다. 생강으로 풍한을 발산하고 박하로 풍열을 발산한다. 즉, 풍한, 풍열을 모두 발산하는 약이다.(아마 정확히 풍한에 의해 상한 것인지, 풍열에 의해 상한 것인지 감별이 안 되어 둘 다 쓴 것 같다.)

빗물을 쓴 것은 옛 말에 물을 쓸 때 여러 종류가 있다고 한 것에서 연유한다. 빗물이 내려 졸졸 흐르는 것을 받아 쓰면 물의 성질이 세지 않고 부드러워 조화하는 기운이 있기 때문이다. 마치 감초처럼 약재들을 조화하기에 풍한, 풍열을 고치는 약재 2가지(생강, 박하)를 조화시킨다. 고서에는 빗물 썼다는 기록이 많기는 한데 정말인지는 잘 모르겠다...

 

或問生薑發汗, 不宜常服, 有之乎? 曰, 生薑四時皆可服. 但不宜多服散氣, 豈特發汗哉.

혹 누가 묻기를 생강은 땀을 나게 하므로 오랜 기간 복용하면 마땅하지 않다고 하는데 정말 그런가? 대답하기를 생강은 사계절동안 먹어도 괜찮다. 다만 많이 먹으면 기를 발산하기에 마땅하지 않다. 어찌 특히 땀을 나게 하기 때문에 그럴까?

 

-> 생강의 부작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생강을 오래 먹으면 기를 발산시킬 수 있기에 오랜 기간 복용하는 것에는 주의할 것을 당부한다.

 

然而多服則正受傷, 少服刖正氣無害, 又不可過於避忌坐視, 而不收其功也.

그러한 연유로 생강을 오랜 기간 먹으면 정기를 상하게 되고 적게 먹으면 정기에 해가 없다. 도리어 과도하게 생강 먹는 걸 꺼려하여 생강의 효능을 받지 못하면 안 된다.

 

-> 생강을 너무 많이 먹으면 기운이 빠진다는 말이다. 이 말만 듣고 생강 오래 먹으면 안 좋으니까 생강은 쓰지 말아야겠다고 마음먹지 말고 적당히 증상에 맞춰 쓰라는 얘기다. 실제로 생강을 너무 많이 먹으면 속이 쓰리고 힘이 빠진다. 생강도 주의해서 써야 한다.

 

至於偶受陰寒, 如手足厥逆, 腹痛繞臍而不可止, 不妨多用生薑, 搗碎炒熱, 熨於心腹之外, 以祛其內寒也.

 

한기를 받아서 손발이 차갑고(수족궐랭), 배가 아프고 배꼽 주변이 아픈 것이 그치지 않다면 생강을 많이 쓰는 것을 막을 수가 없다. 생강을 찧고 갈아서 열을 가해 배꼽 아래에 문대면 한기를 제거할 수 있다.

 

-> 한사를 받아 손발이 차가워 지고 배가 아프며 배꼽까지 아픈 경우다. 다른 증상과 맥을 봐야 정확히 진단할 수 있겠지만 생강으로 효험을 본 것으로 보아 태양병에서 소음증으로 넘어가 손발이 차가워졌다고 볼 수 있다.

생강을 뜨겁게 문대기보다는 뜸 위에 생강을 올려서 뜸을 뜨는 게 더 낫다. 뜸법 중에 이미 있다.

 

 

생강에 대해 역대 의가들이 논한 것을 따라가며 효능, 귀경, 부작용, 주치증, 실제 사례를 공부하고 있다. 굉장히 유명한 의가에서 쓴 책이라고 하더라도 공부하다 보면 틀린 부분이 조금씩은 있기에 반드시 여러 책을 두루 살펴보며 공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