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적작약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2)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1)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2)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3) 이번 편은 분량이 상당히 많다. 집중해서 읽어야지 안 그러면 중간에 내용을 놓치기 쉽다. 1. 원문. [本經] 芍藥, 雖末分別赤白, 二者各有所主, 然尋繹其主治諸病, 一爲補血益肝脾眞陰, 而收攝脾氣之散亂, 肝氣之恣橫, 則白芍也. 一爲逐血導瘀, 破積泄降, 則赤芍也. 成無己謂白補而赤瀉, 白收而赤散, 故益陰養血, 滋潤肝脾, 皆用白芍, 活血行滞, 宣化瘍毒, 皆用赤芍藥. 芍藥專治腹痛, 仲聖之法, 實卽秦, 漢以前歷聖相傳之法. 說者每謂腹痛是肝本凌脾, 芍能助脾土而克肝木, 故爲腹痛之主藥. 要.. 더보기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1)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1)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2)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3) 본초정의에서 백작약에 관해 언급한 부분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서 3편으로 나눠서 공부해봤다. 1. 원문. 芍藥, 古無赤白之分, 而功用自別. 白者苦而微酸, 能益太陰之脾陰, 而收換散之人氣, 亦補益肝陰, 而安靖甲乙之橫逆. [本經] 主邪氣腹痛, 寒熱疝瘕, 止痛益氣, [別錄] 所謂緩中者, 無一非養毓肝, 脾兩臟兩眞陰, 而收攝兩藏之逆氣, 斯邪氣退 藏, 正氣補益, 腹痛及心胃之痛皆除, 中氣和調, 寒熱自已, 疝瘕自定. 皆白芍藥養脾柔肝之功用也. 赤者行滯破血, 直達下焦. [本經]所謂除血痹, 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