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1)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2)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3)
본초정의에서 백작약에 관해 언급한 부분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서 3편으로 나눠서 공부해봤다.
1. 원문.
芍藥, 古無赤白之分, 而功用自別. 白者苦而微酸, 能益太陰之脾陰, 而收換散之人氣, 亦補益肝陰, 而安靖甲乙之橫逆. [本經] 主邪氣腹痛, 寒熱疝瘕, 止痛益氣, [別錄] 所謂緩中者, 無一非養毓肝, 脾兩臟兩眞陰, 而收攝兩藏之逆氣, 斯邪氣退 藏, 正氣補益, 腹痛及心胃之痛皆除, 中氣和調, 寒熱自已, 疝瘕自定. 皆白芍藥養脾柔肝之功用也. 赤者行滯破血, 直達下焦. [本經]所謂除血痹, 破堅積, [別錄]所謂通順血脈, 散惡血, 逐賊血, 消癰腫, 中惡腹痛, 皆惟赤芍藥之能行滯逐瘀者, 足以當之. 利小便, 去水氣, 利膀胱大小腸, 亦赤芍泄導之功, 石頑以[本經]之利小便三字, 系於赤芍藥之下, 良有以也.
2. 원문 - 해석 - 해설.
芍藥, 古無赤白之分, 而功用自別. 白者苦而微酸, 能益太陰之脾陰, 而收換散之人氣, 亦補益肝陰, 而安靖甲乙之橫逆.
작약은 옛날에는 적작약과 백작약을 나눠서 구분하지 않았고 효능(공능)도 스스로 다르다. 백작약은 쓴 맛이고 약간 신 맛이 있어 비장의 음을 보충하고 사람의 기운을 수렴하고 바꾸고 흩는 기능이 있다. 또한 간장의 음을 보충하고 갑을의 횡역을 안정시킨다.
-> 신농본초경 때는 적작약과 백작약을 나눠 구분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그런데 본초정의 때 (청나라 시기)는 적작약과 백작약의 효능을 분명히 구분하고 있다. 백작약은 비장의 음을 보충하여 간의 히스테리를 비장이 잘 받고 견디도록 한다. 그래서 간의 화기를 흩어 없앤다. 그러면 화기로 인해 사람이 열받고(들뜬 기분) 힘든 것이 가라앉고(기운이 수렴) 화기를 바꿔서 흩어버린다. 그러면 간장의 기운이 안정되어 간 또한 작약으로 보할 수 있게 된다.
작약은 음을 수렴한다. 이렇게만 외우지 말고 기전을 알아야 정확히 약을 쓸 수 있다. 특히 사물탕! 보혈에는 사물탕 이렇게 하지 말고 숙지황 작약 당귀 천궁을 다 공부해서 사물탕이 뭔지 제대로 알고 쓰자..
[本經] 主邪氣腹痛, 寒熱疝瘕, 止痛益氣, [別錄] 所謂緩中者, 無一非養毓肝, 脾兩臟兩眞陰, 而收攝兩藏之逆氣, 斯邪氣退 藏, 正氣補益, 腹痛及心胃之痛皆除, 中氣和調, 寒熱自已, 疝瘕自定.
신농본초경에서 작약은 외부의 안 좋은 기운으로 인한 복통을 주관하고 한열이 왕래하고 배에 볼록볼록한 것이 튀어나오는 것(산기)를 주관한다고 했다. 명의별록에서는 작약이 중초를 완화한다고 한 것은 간과 비장의 진음을 길러서 두 장기에서 거슬러 올라오는 기운을 수렴하고 조절하여 이런 안 좋은 기운을 없애고 정기가 보충되도록 하여 복부에서 심장과 위장에 이르는 통증을 모두 제거한다. 그럼으로써 중초의 기운을 화평하게 하고 조절되도록 하여 한열왕래가 스스로 그치게 하여 배에 볼록볼록한 것이 튀어나오는 것(산기)이 스스로 고쳐지도록 한다.
-> 작약은 거의 대부분 복통을 주관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래서 일본 캄포의학에서는 복통이면 복직근연급이 있으므로 작약! 이러고 캄포의학 공부하는 주변 사람들도 이런 식으로 작약을 많이 쓴다. 복통+복직근 당김 두 증상으로만 작약 쓰는 건 문제가 좀 있다. 엄연히 비음허로 인한 진액 운화 저체로 복통이 생긴 것에 비음허를 보충하기 위해 작약을 써서 복통이 그치는 것이다. 기전을 알고 써야지 그냥 쓰면 분명히 실수한다.
간, 비장의 진음을 기른다는 것은 간의 음을 기르는 것이 아니라 비장의 음을 탄탄히 하여 간장의 히스테리를 비장이 모두 받아 간장이 풀어도록 하여 음이 길러질 기회를 간에 주는 것이다. 겉으로 보면 간, 비를 둘 다 보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면 옆구리~복통~위완부 통증까지 자연히 없어진다. 산기도 이와 마찬가지다.
皆白芍藥養脾柔肝之功用也. 赤者行滯破血, 直達下焦.
모두 백작약은 비장을 기르고 간을 유연하게 하는 공능(효능)이 있기 대문이다. 적작약은 체한 것을 돌려주고 혈을 파하여 하초로 직달한다.
-> 백작약의 효능을 집중해서 봐야 한다. 비장을 길러주고 간을 길러주는게 아니라 비장은 길러주고 간은 유연하게 한다. 비장을 길러서 간의 히스테리를 비장이 받아 간이 힘빠지게 해서 간이 지쳐 성질이 가라앉는 것으로 비유하면 적당할 듯하다.
적작약은 백작약에 비해 보하는 효능보다는 기운을 돌리고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에 가깝다. 하초(간, 신)쪽에 작용한다.
[本經]所謂除血痹, 破堅積, [別錄]所謂通順血脈, 散惡血, 逐賊血, 消癰腫, 中惡腹痛, 皆惟赤芍藥之能行滯逐瘀者, 足以當之.
(작약은) 신농본초경에서 이른바 혈로 인한 저림증을 제거하고 뭉치고 적체된 것을 깨버린다고 했다. 명의별록에서는 이른바 혈맥을 통하게 하고 순하게 하며 안 좋은 혈(어혈)을 흩어버리고 나쁜 혈을 제거하며 옹종을 없애고 안 좋은 기운에 맞아 복통이 생긴 것을 (굉장히 심한 복통) 주관하는데 이것은 모두 생각건대 적작약이 능히 체한 것을 움직이고 어혈을 없애는 것에 의한 것이다. 마땅히 작약을 쓰는 것이 (이러한 증상에) 족하다.
-> 신농본초경에서 언급된 작약의 효능을 거의 다 무언가를 통하고 깨뜨리는 작용이다. 본초정의에서는 이것을 보아하니 적작약의 효능인 것 같다고 말한다. 내가 봐도 본초정의 의견에 동의한다.
利小便, 去水氣, 利膀胱大小腸, 亦赤芍泄導之功, 石頑以[本經]之利小便三字, 系於赤芍藥之下, 良有以也.
소변을 통하게 하여 수기를 제거하고 방광, 대장, 소장을 통하게 하는 것은 역시 적작약이 수기를 배출하고 아래로 인도하는 효능이다. 장석완이라는 사람이 신농본초경에서 소변을 통하게 한다는 3글자를 적작약의 아래에 넣은 것은 이러한 연유가 있기 때문이다.
-> 적작약이 백작약과 다르게 소변을 통하게 하고 수기를 아래로 내보낸다는 것이 신농본초경에 적혀 있는 이유에 관해 말하고 있다. 적작약과 백작약의 차이에 대해 구분할 수 있으면 된다.
계속 공부하다보니 처음에 증상에 대해서만 다룬 글에 비해 작약에 대해 훨씬 더 이해가 깊어지고 있다.
2020/05/08 - [본초(약초) 이야기/당귀, 천궁, 백작약] -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분석,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를 중심으로.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분석,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를 중심으로.
이번에 다룰 '신농본초경소'라는 책에서 언급된 백작약의 각종 효능과 작용 기전은 전에 다뤘던 탕액본초에서 다룬 백작약과 조금 다르다. 신농본초경소에서는 좀 더 자세하게 백작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탕액..
herborigin.tistory.com
처음 작약에 대해 다뤘던 글인데 여기서 작약에 관해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었지만 적작약에 대해서는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이번 공부를 통해 신농본초경소만 공부한 것보다 이해가 훨씬 넓어질 수 있었다.
이런 이유로 본초를 공부할 때는 꼭 책을 여러권 보길 권한다. 가능하면 한문 원문을 한 번 읽어보고 그 다음부터는 한글로 번역된 것을 읽는 것이 좋다. (한문만 계속 읽기에는 속도가 느리니까.)
'본초(약초) 이야기 > 당귀, 천궁, 백작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3) (0) | 2020.05.11 |
---|---|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2) (0) | 2020.05.11 |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분석,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를 중심으로. (0) | 2020.05.08 |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탕액본초(湯液本草)를 중심으로. (0) | 2020.05.07 |
토천궁 vs 일천궁 vs 중국천궁 vs 당귀 비교하기. (0)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