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추(大棗), 효능, 주해상한론(注解傷寒論)을 중심으로.
1. 원문. 茯苓桂枝甘草大棗湯, 大棗之甘, 滋助脾土, 以平腎氣, 十棗湯, 益土而勝水. 2. 원문 - 해석 - 해설. 茯苓桂枝甘草大棗湯, 大棗之甘, 滋助脾土, 以平腎氣, 十棗湯, 益土而勝水. 복령계지감초대조탕(영계감조탕)에서 대추의 단 맛으로 비장을 자윤하고 돕는다. 이로써 신장의 기운을 화평하게 만든다. 십조탕은 토(土)의 기운을 더하고 수(水)를 강하게 만든다. -> 영계감조탕은 장중경의 상한론에 등장하는 처방이다. 분돈증으로 아랫배에서 머리쪽으로 무언가 확 치받는 증상이 있을 때 자주 쓴다. 이러한 분돈증의 원인은 심장 - 신장의 수승화강(水升火降)이 제대로 안 되기 때문에 그렇다. 즉, 심장의 화(火)가 신장의 수(水)를 제대로 덥혀주지 못 한다. 그러므로 신장의 수(水)는 제어되지 못 하고 위로 ..
더보기
오미자(五味子), 효능, 주해상한론(注解傷寒論)을 중심으로.
1. 원문. 曰, 肺欲收, 急食酸以收之. 芍藥, 五味子之酸, 以收逆氣而安肺. 2. 원문 - 해석 - 해설. 曰, 肺欲收, 急食酸以收之. 芍藥, 五味子之酸, 以收逆氣而安肺. 내경에서 말하길 폐는 수렴하려고 하기에 급히 신 맛을 띠는 본초로써 폐를 수렴해야 한다. 작약, 오미자의 신 맛으로 원래대로 흐르지 않고 거슬러 흐르는 기를 수렴하고 폐를 안정시킨다. -> 내경의 말을 인용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덧붙이고 있는 구절이다. 폐는 수렴하니까 어떤 이유로 폐가 수렴하지 않으면 수렴시킬 수 있는 약재로 폐를 수렴해야 한다는게 내경의 견해다. 그런데 여기에다가 작약과 오미자는 신 맛을 띠므로 신 맛은 수렴하는 쪽이니까 폐가 수렴하지 않을 때 이 약을 쓰면 된다고 한다. 전형적인 오류다. 백작약을 실제 폐가 수렴하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