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사(澤瀉), 효능 분석, 의경소회집(醫經溯洄集)
택사에 대한 리뷰 중 마지막이다. 지금까지 총 8편의 본초학 전문서적을 번역하고 하나씩 공부해가며 택사에 대한 많은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다. 택사만 공부한 것이 아니라 팔미환, 육미지황환, 오령산 등에 대한 처방도 같이 공부했다. 택사 - 복령 - 저령 3가지는 반드시 묶어서 같이 공부해야 한다. 세 약재는 효능이 비슷해서 자세히 공부해두지 않으면 정말 헷갈리고 처방할 때 확신을 가질 수가 없다. 1. 원문. 張仲景八味丸用澤瀉, 寇宗奭云, 不過接引桂, 附等歸就腎經, 別無他意, 愚謂地黃, 山茱萸, 白茯苓, 牡丹皮皆腎經之藥, 固不待澤瀉之接引而後至也. 附子乃右腎命門之藥, 官桂能補下焦相火不足, 亦不待乎澤瀉之接引而後至矣. 唯乾山藥雖獨入手太陰經, 然其功亦能强陰, 且手太陰爲足少陰之上原, 原旣有滋, 流豈無益? 且澤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