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통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1)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1)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2)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본초정의(本草正義)를 중심으로. (3) 본초정의에서 백작약에 관해 언급한 부분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서 3편으로 나눠서 공부해봤다. 1. 원문. 芍藥, 古無赤白之分, 而功用自別. 白者苦而微酸, 能益太陰之脾陰, 而收換散之人氣, 亦補益肝陰, 而安靖甲乙之橫逆. [本經] 主邪氣腹痛, 寒熱疝瘕, 止痛益氣, [別錄] 所謂緩中者, 無一非養毓肝, 脾兩臟兩眞陰, 而收攝兩藏之逆氣, 斯邪氣退 藏, 正氣補益, 腹痛及心胃之痛皆除, 中氣和調, 寒熱自已, 疝瘕自定. 皆白芍藥養脾柔肝之功用也. 赤者行滯破血, 直達下焦. [本經]所謂除血痹, 破.. 더보기
백작약(白芍藥), 효능, 성미, 귀경, 탕액본초(湯液本草)를 중심으로. 1. 원문. 芍葉, 東垣云, 但澁者爲上. 或問, 古今方論中多以澁爲收, 今 [本經] 有利小便一句者何也? 東垣云, 芍藥能停諸濕而益津液, 使小便自行, 本非通行之藥, 所當知之. 又問, 有緩中一句, 何謂緩中? 東垣云, 當用四物湯, 以其內有芍藥故也. 赤者利小便下氣, 白者止痛散氣血, 入手, 足太陰經. 大抵酸澁者爲上, 爲收敵停濕之劑, 故主手, 足太陰經. 收降之體, 故又至血海, 後至闕陰經也. [難經]云, 損其肝者緩其中, 卽調血也. 腹中虛痛, 脾經也, 非芍藥不能除. 2. 원문 - 해석 - 해설. 芍葉, 東垣云, 但澁者爲上. 或問, 古今方論中多以澁爲收, 今 [本經] 有利小便一句者何也? 이동원이 이르길 작약은 다만 깔깔한 맛을 지닌 것만이 상, 중, 하품 중에서 상품이 된다고 했다. 누군가 이동원에게 묻길 고금을 통틀어 처방.. 더보기
당귀(當歸), 효능, 각가의론(各家醫論), 금기증(먹으면 안 되는 사람) - (3) 당귀(當歸), 효능, 각가의론(各家醫論), 금기증(먹으면 안 되는 사람) - (1) 당귀(當歸), 효능, 각가의론(各家醫論), 금기증(먹으면 안 되는 사람) - (2) 당귀(當歸), 효능, 각가의론(各家醫論), 금기증(먹으면 안 되는 사람) - (3) 2020/04/05 - [본초(약초) 이야기/당귀] - 당귀(當歸), 효능, 각가의론(各家醫論), 금기증(먹으면 안 되는 사람) - (2) 2020/04/04 - [본초(약초) 이야기/당귀] - 당귀(當歸), 효능, 각가의론(各家醫論), 금기증(먹으면 안 되는 사람) - (1) 당귀(當歸), 효능, 각가의론(各家醫論), 금기증(먹으면 안 되는 사람) - (1) 당귀(當歸), 효능, 각가의론(各家醫論), 금기증(먹으면 안 되는 사람) - (1) 당귀(當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