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사(澤瀉), 효능 분석, 본초연의(本草衍義)를 중심으로.
1. 원문. 澤瀉, 其功尤長於行水. 張仲景日, 水蓄渴煩, 小便不利, 或吐或瀉, 五苓散主之. 方用澤瀉, 故知其用 長於行水. 又引扁鵲云, 多服病人眼澁, 誠爲行去其水. 張仲景八味丸用之者, 亦不過引接桂, 附等歸就腎經, 別無他意. 凡服澤瀉散人, 末有不小便多者, 小便旣多, 腎氣焉得復實? 今人止泄精, 多不敢用. 2. 원문 - 해석 - 해설. 澤瀉, 其功尤長於行水. 택사는 그 효능이 물을 통하게 하는데 가장 큰 장점이다. 張仲景日, 水蓄渴煩, 小便不利, 或吐或瀉, 五苓散主之. 方用澤瀉, 故知其用 長於行水. 장중경이 말하길 물이 정체하여 목마르고 가슴이 답답하며 소변이 통하지 않고 혹 토하고 혹 설사할 때 오령산으로 다스리라고 했다. 오령산의 처방에는 택사가 들어간다. 그러므로 그 효능이 물을 통하게 하는데 장점이 있는..
더보기